크
크리에이트립
February 19, 20251회
사내 AI 챗봇 서비스 구축하기

간단 소개
크리에이트립 FE 개발자가 사내 AI 챗봇을 구축한 경험 공유: Azure OpenAI 연동, GraphQL 스키마 조회, 파일 지원, 웹 접근 기능 등 구현 과정과 트러블 슈팅.
AI Summary
- 사내 AI 챗봇 구축 계기 및 과정
- 크리에이트립 구성원들의 ChatGPT 활용 증가와 남은 Azure 크레딧 활용 필요성 대두
- GraphQL 쿼리 및 뮤테이션 자동 완성 기능에 대한 개인적인 필요성 증대
- Vercel의 Next.js AI Chatbot 템플릿을 기반으로 구축 시작
- 주요 기능 구현 및 트러블 슈팅
- Auth.js를 활용하여 크리에이트립 인증 서버와 연동, 관리자 권한 사용자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 Azure OpenAI 연동 과정에서 baseURL 설정 오류 해결
- Function Calling을 활용하여 GraphQL 스키마 조회 기능 구현, 토큰 사용량 및 응답 속도 개선
- 콘텐츠 필터링 문제 해결을 위해 프롬프트 및 함수 설명 수정, 안전 강조
- 대용량 데이터 조회 시 S3에 JSON 파일 업로드 후 링크 제공 방식으로 컨텍스트 초과 문제 해결
- Python 코드 인터프리터를 JavaScript로 변경, 샌드박스 환경에서 안전하게 실행
- 추가 개선 및 배포
- 다양한 파일 형식 지원 (.docs, .pdf, .xls 등)
- 계산기, 웹 접근 기능 추가 (Puppeteer 활용)
- NeonDB에서 Azure PostgreSQL로 DB 이관, ECS를 통해 프론트엔드 배포
- Mem0.ai를 활용한 메모리 기능, 시각화 기능 추가
- 출시 후 한 달간 56명 사용, 600개 이상의 채팅 세션, 15000개 이상의 메시지 생성
Next Feeds

GitLab Release 자동화 완벽 가이드(feat. CI/CD)
GitLab CI/CD를 활용한 릴리즈 자동화 방법과 release-cli, Changelog API를 이용한 배포 및 릴리즈 노트 자동 생성 과정을 설명합니다.
GitLabCI/CD릴리즈 자동화release-cliChangelog API
2025. 2. 19.
인포그랩
AWS re:Invent 2024 Recap: Compute
AWS re:Invent 2024에서 공개된 EC2, Graviton, Trainium 등 AWS의 최신 컴퓨팅 기술 동향과 발전 방향을 분석합니다.
AWS re:InventEC2GravitonTrainiumNitro System
2025. 2. 18.
카카오페이
AWS re:Invent 2024 Recap: AI 2편
AWS re:Invent 2024에서 공개된 SageMaker와 Bedrock의 주요 업데이트를 통해 AI 개발 및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합니다.
AWS re:InventSageMakerBedrock생성형 AIAI
2025. 2. 18.
카카오페이
AWS re:Invent 2024 Recap: AI 1편
AWS re:Invent 2024에서 소개된 금융 회사의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 사례와 AWS AI 스택, FMOps 방법론을 요약.
AWS re:Invent생성형 AI금융FMOpsLLM
2025. 2. 18.
카카오페이

Flink SQL 도입기
Flink SQL 도입 배경, 선택 이유, 클러스터 구축 및 운영 경험 공유. Flink SQL은 빠른 개발과 운영 효율성을 제공하며 안정적인 스트리밍 처리를 지원한다.
Flink SQL스트리밍 처리KubernetesGitOpsHigh Availability
2025. 2. 18.
하이퍼커넥트
Ktor로 팀 환경에 맞는 API 서버 구현하기
Ktor를 도입하여 팀 개발 환경에 맞는 API 서버를 구축하고, 다양한 플러그인을 활용하여 기능을 확장하는 과정을 공유합니다.
KtorAPI 서버플러그인Kotlin카카오페이
2025. 2. 17.
카카오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