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
데브시스터즈
September 24, 20191회
스펙에 대처하는 QA의 자세

간단 소개
QA는 스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스펙으로 분류되는 이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하여 제품 품질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AI Summary
- 스펙의 정의와 QA의 오해
- 스펙은 Specification의 줄임말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충족해야 하는 문서화된 요구 사항을 의미합니다.
- QA는 '스펙입니다'라는 답변에 단순히 수긍하기보다, 기획서의 어떤 내용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스펙으로 분류된 이슈가 수정하기 어렵거나 개발자의 실수로 인한 것이라는 의심을 하기보다는, 객관적인 근거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Spec in Close의 중요성
- Spec in Close는 발견된 증상이 스펙 범위 내에 있어 결함으로 분류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 이슈로 의심되는 증상도 우선 BTS에 등록하고, 스펙으로 판명되면 Spec in Close 처리해야 합니다.
- Spec in Close 처리되는 이슈가 많다는 것은 명세서가 불명확하거나 QA가 명세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 QA의 효과적인 대처
- 이슈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BTS에 티켓을 생성하고 개발/기획자에게 문의하여 스펙 해당 여부를 확인합니다.
- 명세된 내용이 없다면 스펙으로 추가할지, 이슈로 수정할지 논의합니다.
- 사용자의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보고 스펙 분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문제 수정은 잘잘못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제품 품질 향상과 고객 경험 개선을 위한 과정임을 인지해야 합니다.
Next Feeds

gRPC를 쓰면 REST가 공짜!?
버즈빌은 MSA 환경에서 gRPC를 도입하여 네트워크 속도 향상, API 관리 효율성 증대, REST API 지원 등의 효과를 얻었습니다.
gRPCMSAProtocol BuffersREST APICI/CD
2019. 9. 1.
버즈빌
리액트: 그것마저 결정해주마 / if(kakao)2019
리액트 개발 시 발생하는 다양한 고민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기술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리액트컴포넌트훅서버사이드 렌더링타입스크립트
2019. 8. 30.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다음웹툰의 UX (New tab : Top) / if(kakao)2019
다음웹툰 앱의 새로운 UX, 'New tab : Top' 메뉴 디자인 및 개발 과정을 소개합니다.
다음웹툰UXUIkakao앱
2019. 8. 30.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Airflow를 활용하여 아름다운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성하기 / if(kakao)2019
Airflow를 활용한 데이터 파이프라인 구축 사례 소개 및 카카오페이지의 Airflow 활용 방식 제시.
Airflow데이터 파이프라인Workflow management카카오페이지데이터 분석
2019. 8. 30.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PyCon KR 2019 뱅크샐러드 돌아보기
뱅크샐러드가 PyCon KR 2019에 참여하여 진행한 발표, 부스 운영, 그리고 Pythonic Adventure/Challenge 게임 개발 및 운영 후기를 다룬 글입니다.
PyCon KR 2019뱅크샐러드PythonPyxel게임 개발
2019. 8. 26.
뱅크샐러드

버즈빌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는 어떤 일을 할까?
버즈빌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의 역할과 ATF 팀의 구성, 그리고 애드테크 기업으로서 버즈빌이 직면한 기술적 과제 및 해결 방안을 소개합니다.
소프트웨어 아키텍트애드테크ATF디지털 광고아키텍처
2019. 7. 8.
버즈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