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여기어때
June 19, 20251회
한 줄로 끝내는 iOS 화면 생성: Scaffold + Makefile
간단 소개
Tuist Scaffold와 Makefile을 활용하여 iOS 화면 생성 과정을 자동화하고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I Summary
- Tuist Scaffold와 Makefile을 활용한 iOS 화면 생성 자동화
- SwiftUI 화면 개발 시 반복되는 5개의 파일 생성 및 기본 코드 작성의 번거로움 해소
- Tuist Scaffold를 통해 Boilerplate Code 자동 생성 및 템플릿 관리
- Makefile을 활용하여 scaffold 명령어 간소화 및 사용자 친화적인 스크립트 실행 환경 구축
- Tuist Template 구성 및 활용
- Manifest 파일(.swift)을 통해 템플릿의 메타데이터 및 생성될 파일 구조 정의
- Stencil 파일(.stencil)을 사용하여 실제 Swift 파일의 뼈대 구성 및 Attribute 값 삽입
- Xcode Template 대비 Tuist Scaffold의 장점
- 팀 차원에서 템플릿의 일관된 공유, 재사용, 장기적인 유지보수 용이
- Makefile을 통한 명령어 단축 및 자동화로 개발 생산성 향상
- 코드 스타일 및 구조의 일관성 유지
Next Feeds
네트워크 기반 Compose Preview가 안보인다면?
여기어때 YDSImage 컴포넌트의 Compose Preview가 네트워크 제한으로 렌더링되지 않는 문제를 LocalInspectionMode를 통해 해결하고 개발 효율성을 개선한 사례.
YDSImageCompose PreviewLocalInspectionModeJetpack ComposeAsyncImage
2025. 6. 19.
여기어때

BFF(Backend for Frontend) 가 여기어때에서 하는 일
여기어때에서 BFF(Backend for Frontend)의 역할, 필요성,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아키텍처 특징을 설명합니다.
BFFBackend for FrontendAPI클라이언트최적화
2025. 6. 19.
여기어때

KMP 기반 UI 컴포넌트 통합 전략
NAVER ENGINEERING DAY 2025에서 발표된 KMP 기반 UI 컴포넌트 통합 전략 및 밴드 디자인 시스템 구축 사례를 소개합니다.
KMPUI 컴포넌트디자인 시스템자동화NAVER ENGINEERING DAY
2025. 6. 18.
Naver d2

에러 0%, MSA에서의 Enum 관리 전략
토스뱅크는 MSA 환경에서 Enum 관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numString, ArchUnit, Meta Expose를 도입하여 안정적인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MSAEnumDeserializeEnumStringMeta Expose
2025. 6. 18.
토스

크트 엔지니어들과 AI
크리에이트립 엔지니어들이 AI 코딩 시대의 코드 리뷰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고, 효율적이고 안전한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한다.
AI코드 리뷰협업자동 검증책임감
2025. 6. 18.
크리에이트립

AWS에서의 MTU, MSS 이해
AWS 환경에서 MTU, MSS 설정 및 MSS 클램핑, PMTUD 메커니즘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성능 최적화 방안을 제시합니다.
MTUMSSMSS ClampingPMTUDAWS
2025. 6. 18.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