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카카오
September 9, 20251회
Next.js SSR 서버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SSR 지옥 탈출기 시리즈 2)

간단 소개
Next.js SSR 서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과정을 공유하고, 프로세스 레벨 모니터링의 필요성과 시스템 고도화 방안을 제시합니다.
AI Summary
- 프로세스 레벨 모니터링 필요성
- OS 레벨 모니터링만으로는 부족하며, Node.js 프로세스 내부 상태 (힙 사용량, 이벤트 루프 지연) 확인 필요.
- 힙 메모리 제한으로 인한 OOM 에러, 이벤트 루프 지연으로 인한 좀비 프로세스 발생 가능성 존재.
- 모니터링 파이프라인 구축
- pm2-metrics를 통해 프로세스 지표를 Prometheus 포맷으로 노출.
- Grafana Alloy를 사용하여 메트릭 데이터를 수집하고 TSCoke(시계열 DB)에 전송, Grafana를 통해 시각화.
- 시스템 고도화
- Docker Compose를 활용하여 컨테이너 실행 환경을 코드로 관리.
- Grafana Alloy 고가용성(HA) 구성을 통해 단일 장애점(SPOF) 문제 해결. Active-Standby 방식으로 이중화.
Next Feeds

빅뱅 배포, QA는 어떻게 살아 남았나: GMS 프로젝트 테스트 전략 백서
올리브영 GMS 프로젝트의 빅뱅 배포 전략 하에 QA가 리스크를 관리하고 안정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수행한 테스트 전략과 경험을 공유합니다.
GMS빅뱅 배포테스트 전략데이터 정합성모니터링
2025. 9. 8.
올리브영

여기어때 CI/CD 개선기 Part 2: CI Pipeline 설계
여기어때 DevOps팀의 CI/CD 개선 Part 2: CI 공통화를 위한 모듈화 설계 과정과 결과를 공유합니다.
CI/CDGitlab CIDevOps모듈화파이프라인
2025. 9. 8.
여기어때

무슨사이(MUSNSAI) AI 해커톤 운영기: AI와 함께, 코드가 워킹한다
무신사 AI 해커톤 '무슨사이' 운영기로, AI와 협업 문화 구축 및 실질적인 코드 생산성 향상 경험을 공유한다.
AI 해커톤무신사AI 협업개발 문화코드 생산성
2025. 9. 8.
무신사

여기어때 CI/CD 개선기 Part 1: 문제 파악
여기어때의 파편화된 CI/CD 파이프라인을 개선하여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개발자 경험을 개선한 사례 분석.
CI/CDDevOpsGitlab CIArgoCD파이프라인 개선
2025. 9. 8.
여기어때

PlayMCP: 제로부터 시작하는 MCP 플랫폼 개발
PlayMCP는 카카오 AI 서비스에 연결될 MCP 서버를 실험하고 관리하는 개발자 플랫폼으로, AI 에이전트 시대를 준비합니다.
PlayMCPMCPAI 에이전트Streamable HTTP인증
2025. 9. 8.
카카오

챗봇 서비스 구축기
사람인 데이터를 활용한 LLM 기반 챗봇 서비스 구축 과정과 RAG, Function Calling, LangGraph 등 핵심 기술 적용 및 개선 사례를 공유합니다.
챗봇LLMRAGFunction CallingLangGraph
2025. 9. 7.
사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