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WS
September 22, 20252회
HotelStory의 Amazon Q in QuickSight를 통한 생성형 AI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환경 구축하기

간단 소개
HotelStory는 Amazon Q in QuickSight를 통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환경을 구축, 비즈니스 팀의 데이터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습니다.
AI Summary
- HotelStory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환경 구축
- 호텔스토리는 Amazon Q in QuickSight를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 환경을 구축하고, 비즈니스 팀이 직접 데이터를 탐색하고 인사이트를 도출하도록 혁신했습니다.
- AWS Data Lab 프로그램을 통해 3주간 집중 스프린트를 진행, 셀프 서비스 BI 대시보드 PoC를 구현했습니다.
- 데이터 파이프라인 및 Q in QuickSight 활용
- RDS 스냅샷 -> S3 Export -> Glue ETL -> Athena -> QuickSight 파이프라인을 구축하여 운영 DB 부하를 최소화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 Q in QuickSight의 자연어 질의 기능을 통해 비즈니스 팀이 데이터 전문 지식 없이도 복잡한 분석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주요 성과 및 기대 효과
- 분석 응답 시간 단축, 운영 효율성 향상, 실시간 의사결정 지원, 셀프 서비스 BI 실현 등의 효과를 달성했습니다.
- 향후 생성형 AI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경험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Next Feeds

당근만의 AI 경험을 나눔해요 「요즘 당근 AI 개발」출간
당근의 AI 개발 경험을 담은 『요즘 당근 AI 개발』 출간. AI 활용, 자동화,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경험 공유.
AI당근개발자동화플랫폼
2025. 9. 22.
당근
detekt에 custom rule 추가하기
detekt에 custom rule을 추가하여 팀 컨벤션에 맞는 코드 분석 규칙을 설정하고 자동화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detektcustom rulecode qualitystatic analysiskotlin
2025. 9. 22.
PRND
detekt + reviewdog으로 정적 코드 분석 자동화하기
detekt와 reviewdog을 활용하여 정적 코드 분석을 자동화하고, PR 리뷰에 결과를 반영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detektreviewdog정적 코드 분석자동화GitHub Actions
2025. 9. 22.
PRND
SonarQube Cloud에서 detekt + reviewdog으로 전환한 이유
헤이딜러 안드로이드팀은 SonarCloud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detekt와 reviewdog을 도입, 정적 코드 분석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SonarClouddetektreviewdog정적 코드 분석코드 리뷰
2025. 9. 22.
PRND

Zookeeper에 의존하지 않는 Kafka를 준비하기 : Amazon MSK에서 KRaft 모드 사용하기
Amazon MSK에서 KRaft 모드를 사용하여 Zookeeper 없이 Kafka를 운영하는 방법, 마이그레이션 전략,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합니다.
Amazon MSKKRaft 모드ZookeeperKafka마이그레이션
2025. 9. 22.
AWS

워크플로 자동화 도구(n8n)의 서비스 자동화 전략
워크플로 자동화 도구 n8n의 강점 분석 및 API와 MCP를 활용한 서비스 자동화 전략 제시
n8n워크플로 자동화APIMCP자동화 전략
2025. 9. 22.
한글과컴퓨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