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QueryPie
April 16, 20251회
MCP 보안성 평가: 문헌 조사를 통한 MCP 보안 위협 식별 및 취약점 분석
간단 소개
MCP 기반 AI 시스템의 보안 위협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 및 새로운 보안 아키텍처인 MCP PAM을 제안하는 백서.
AI Summary
MCP 보안 위협 식별
- **Model Context Protocol (MCP)**은 LLM 및 에이전트 시스템의 문맥 전달 표준이나, 다계층 문맥 오용, 인증 위임 남용, 정책 우회 및 LLM 오작동 등의 위협 존재.
- 주요 위협은 문맥 조작(T1), 권한 위임 오용(T2), 모델 오작동 유도(T3), **감사 불가능성(T4)**으로 분류되며, 비표준 문맥 형식, 실행 환경 비결정성, 정책-실행 분리, 로깅 표준 부재가 구조적 취약점. MCP 보안 위협 대응 전략
- 정책 일관성 확보: 정책 엔진과 LLM/Agent Runtime 연동, 중앙 정책 관리, 서명된 결정 객체 강제화로 불일치 방지.
- 문맥 무결성 및 위·변조 방지: 디지털 서명, 해시 기반 무결성 정보 도입, 이중 검증으로 조작 방지.
- 권한 위임 통제 및 사칭 방지: 위임 사슬 정보 포함, 위임 범위 제한, 정책 기반 검증, 서명 검증 필수화로 오용 차단.
- 감사 로그 구조화 및 포렌식 추적성 강화: 구조화된 JSON 로그, 서명/해시값 포함, 중앙 감사 서버 연동으로 사고 추적 및 책임 규명. 새로운 보안 아키텍처: MCP PAM 제안
- 기존 보안 체계 한계로, 문맥 인지형, 정책 연동형, 자율 판단형 보안 플랫폼 MCP PAM (Model Context Protocol Privileged Access Management) 제안.
- MCP PAM은 Context-aware Access Control, Delegation Chain Verification, Policy-Bound Execution Enforcement, Structured & Signed Logging, Risk-Adaptive Autonomous Control 등의 핵심 기능으로 T1-T4 위협에 대응, AI 인프라의 신뢰성, 책임성, 정책 일관성 확보.
Next Feeds

11키티즈 게임에서 XState를 선택한 이유
11키티즈 게임 개발에 XState를 도입하여 상태 관리의 명확성, 개발 생산성, 품질을 향상시킨 경험 공유.
XState상태 관리유한 상태 머신제어권 역전게임 개발
2025. 4. 15.
11번가

검색 Indexing 파이프라인 개선기
당근 검색 플랫폼팀의 색인 파이프라인 개선 과정을 담은 글입니다. 자동화, DB 의존성 감소, 비용 절감, 고가용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소개합니다.
색인 파이프라인검색 플랫폼BigQuery자동화고가용성
2025. 4. 15.
당근

XSS Filter를 통한 웹 보안 강화 방법
XSS 공격 방어 방법과 XSS 필터 작성 예시를 통해 웹 보안 강화 방법을 제시합니다.
XSS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웹 보안XSS 필터보안
2025. 4. 15.
베스핀글로벌

딜리버리 프로덕트 개발팀의 개발 문화 - 주니어 디버깅 스터디
컬리 딜리버리팀의 주니어 디버깅 스터디는 에러 대응 프로세스 학습과 실전 문제 해결을 통해 개발자 역량 강화에 기여했다.
디버깅주니어 개발자에러문제 해결스터디
2025. 4. 14.
컬리

K8s Multi-cluster kubeconfiginteractive-prompt
K8s 다중 클러스터 환경에서 kubeconfig 사용 시 interactive prompt를 통해 실수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소개입니다.
K8skubeconfigMulti-clusterinteractive promptRBAC
2025. 4. 14.
베스핀글로벌
AI 자율주행? 자율보안! 그리고 자율접근제어(Autonomous Access Control)
AI 시대, MCP PAM은 AI의 실행 요청을 실시간으로 통제하여 보안 위협을 예방하는 핵심 인프라다.
MCPAI-SPMMCP PAM자율접근제어실행통제
2025. 4. 14.
QueryPi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