컬
컬리
October 13, 20221회
컬리는 물류 최적화 문제를 어떻게 풀고 있을까? - 1부

간단 소개
컬리는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물류센터 QPS의 생산성을 높이고자 했으며, Digital Twin 구축을 통해 추가 검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AI Summary
- 물류센터 주문 처리 과정
- 주문 그룹 생성: 접수된 주문들을 특정 규모 그룹으로 묶어 총량 피킹 효율을 높임
- 피킹 작업: 작업자가 작업 지시 따라 상품을 바구니에 담는 과정
- QPS 분배: 바구니가 컨베이어를 통해 QPS로 이동, 주문 단위로 분배 후 포장 및 배송
- QPS 생산성 최적화
- 개별 바구니 처리 속도를 생산성 지표로 정의, 바구니 안의 고유한 상품 수가 가장 큰 영향 변수임을 확인
- 유전 알고리즘을 통해 바구니 안 고유 상품 수를 최소화하는 주문 조합 탐색
- 기존 알고리즘 대비 유전 알고리즘 적용 시 batch 내 고유 상품 수 10% 이상 감소 효과 확인
- Digital Twin 구축 및 추가 검증
- 실제 환경과 유사한 가상 환경(Digital Twin) 구축하여 유전 알고리즘 유효성 추가 검증 예정
- 실제 물류센터 적용 전, 통제된 실험 통해 확신 얻고자 함
Next Feeds

뱅크샐러드 사내 해커톤을 소개합니다!
뱅크샐러드 사내 해커톤은 아이디어 발굴부터 서비스 런칭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며, 혁신적인 조직 문화 구축에 기여합니다.
해커톤뱅크샐러드조직문화서비스 런칭아이디어
2022. 10. 13.
뱅크샐러드
FE개발그룹에서는 Tailwind CSS를 왜 도입했고, 어떻게 사용했을까?
FE 개발 그룹의 Tailwind CSS 도입 및 활용 사례, Twin.Macro 라이브러리 연동, 커스텀 플러그인, 다해상도 대응, 컬러 모드 지원 등 다양한 활용 팁을 제공합니다.
Tailwind CSSTwin.Macro디자인 시스템커스텀 플러그인다크모드
2022. 10. 13.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FE개발그룹에서는 Tailwind CSS를 왜 도입했고, 어떻게 사용했을까?
카카오페이지 FE개발그룹의 Tailwind CSS 도입 및 활용 사례 분석: 도입 배경, Twin.Macro 활용, 커스텀 플러그인, 다해상도/컬러모드 지원, IntelliSense 경험.
Tailwind CSSTwin.Macro디자인 시스템CSS-in-JS유틸리티 우선
2022. 10. 13.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도메인 주도 설계와 모델 주도 설계 도입하기 - 정산편
타다 서버팀의 도메인 주도 설계(DDD) 및 모델 주도 설계(MDD) 도입 사례를 통해 정산 도메인의 복잡성을 해결하고 유지보수성을 개선한 과정을 설명합니다.
DDDMDD도메인 주도 설계모델 주도 설계정산
2022. 10. 7.
VCNC
재택근무 환경에서 효율적인 코드 리뷰 방법: 팀 그라운드 룰 정하기
카카오페이 서비스그로스플랫폼팀의 재택근무 환경에서 효율적인 코드 리뷰를 위한 그라운드 룰 도입 과정과 개선점을 소개합니다.
코드 리뷰재택근무그라운드 룰PR 템플릿코드 커버리지
2022. 10. 6.
카카오페이

올리브영 적응기 (a.k.a 회고록)
올리브영 백엔드 개발자의 3개월간의 적응기를 통해 개발 문화와 사내 생활을 엿볼 수 있는 회고록
올리브영백엔드 개발자회고록개발 문화애자일
2022. 10. 5.
올리브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