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페이
Jackson Deserializer 코드 분석해보기
Jackson Deserializer 분석을 통해 입력 데이터의 공백 문자 제거 방법을 알아보고, Custom Deserializer 적용을 권장합니다.
카카오페이 개발자가 Jackson Deserializer를 분석하여 입력 데이터의 공백 문자 제거 방법을 제시합니다. QueryParam의 경우 @InitBinder와 StringTrimmerEditor를 사용하여 간단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RequestBody Json의 경우, Jackson의 JsonDeserializer를 상속받아 커스텀 Deserializer를 구현하여 공백을 제거합니다. strip()과 trim()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Jackson의 NumberDeserializer가 숫자 파싱 시 앞뒤 공백을 제거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정합성을 위해 Custom Deserializer 사용을 권장하며, 오픈소스 코드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Next Feeds

RB ARHIS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 스토리
SK플래닛 ARHIS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 사례: 해외 진출, 서비스 홍보, 브랜딩 강화를 위한 웹사이트 제작 과정 및 성과를 공유합니다.
라이브채팅 플랫폼 구현기 2탄 : 아키텍처 및 성능 테스트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라이브 채팅 플랫폼 구현기 2탄은 아키텍처 설계, 성능 테스트, 향후 개선 과제를 다룬다.
라이브채팅 플랫폼 구현기 1탄 : 개발 언어 및 기반기술 조사
라이브 채팅 플랫폼 구축을 위한 개발 언어, 프레임워크, 메시지 처리 방식, 메시지 브로커, 스트림 프로세싱, 금칙어 처리 기술 스택 선정 과정을 설명한다.
슬랙봇 이모티콘 제작소 개발 그 뒷이야기!!
카카오페이 사내 슬랙봇 콘테스트 참여 후기: 이모티콘 제작 슬랙봇 개발 과정, 기술 스택, 알고리즘 및 개선 사항 공유.

Serilog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자
Serilog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수집하고, S3에 저장 후 Athena를 통해 분석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AI로 블로그 쓰기 - ChatGPT를 가장 쉽게 활용하는 방법
ChatGPT를 활용한 블로그 작성 방법과 비전 분야 생성 AI 기술 소개, 실제 블로그 작성 경험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