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AWS
April 8, 20251회
포스코홀딩스의 Managed Apache Flink를 활용한 효율적인 다수 CCTV 이벤트 처리 사례

간단 소개
포스코홀딩스는 Managed Apache Flink를 활용하여 다수 CCTV 이벤트 처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CloudWatch, Flink CEP, MemoryStateBackend 등을 통해 효율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AI Summary
- 포스코홀딩스의 과제 및 해결
- 포스코홀딩스는 다수 CCTV 이벤트 처리를 위해 Amazon Kinesis와 Managed Apache Flink를 도입하여 실시간 상황 감지 시스템을 구축함.
- 이벤트 필터링을 위해 CloudWatch와 구독 필터를 활용하여 비용 효율적인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Flink CEP 로직의 복잡성을 해결함.
- MemoryStateBackend로 State Backend 설정을 변경하여 Managed Apache Flink의 장기 운영 시 누적되는 처리 지연 문제를 해결함.
- Flink CEP 활용 및 효과
- KeyedProcessFunction 및 Windows Operator를 활용하여 다양한 이벤트 감지 시나리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불필요한 중복 이벤트 발생을 방지함.
- AI 모델 추론 결과를 Kinesis Data Stream으로 수집하고, Managed Apache Flink와 Flink CEP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따른 이벤트 패턴을 실시간으로 탐지함.
- AWS 팀과의 협력을 통해 작업 상황과 장소별로 감지 로직을 유연하게 수정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구현함.
Next Feeds

토스 프론트엔드에 이력서 없이 리포지토리 링크로 지원하세요 (~4/30)
토스 프론트엔드, 이력서 없이 GitHub 리포지토리 링크로 지원하세요! 코드 품질, 협업 능력, 제품 완성도를 보여주세요.
프론트엔드리포지토리채용토스GitHub
2025. 4. 8.
토스
MCP(Model Context Protocol) 시대의 PAM(Privileged Access Management)을 재정의 하다.
MCP 기반 AI 에이전트의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PAM을 통합하여 안전한 AI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MCPPAMAI 에이전트보안 취약점권한 관리
2025. 4. 8.
QueryPie
MCP(Model Context Protocol) 시대의 PAM(Privileged Access Management)을 재정의 하다.
MCP와 PAM의 통합은 AI 에이전트의 안전한 활용을 위한 필수 보안 전략이며, AI 거버넌스 강화와 위험 최소화를 목표로 합니다.
MCPPAMAI 에이전트보안접근 통제
2025. 4. 8.
QueryPie
망분리 시대의 안전한 서버 접근: SSH 프로토콜을 이용한 멀티홉 양방향 터널링 기술
QueryPie는 망분리 환경에서 안전하고 효율적인 서버 접근을 위한 멀티홉 양방향 터널링 기술을 제공하여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향상시킵니다.
망분리SSH터널링QueryPie접근 제어
2025. 4. 8.
QueryPie
MCP(Model Context Protocol) 시대의 PAM(Privileged Access Management)을 재정의 하다.
MCP 시대에 AI 에이전트의 보안 취약점을 해결하고 안전한 활용을 위해 PAM 통합의 필요성과 전략을 제시합니다.
MCPPAMAI 에이전트보안 취약점특권 접근 관리
2025. 4. 8.
QueryPie

AWS LAMBDA를 활용한 Account Helth Event 발생 정보 슬랙 전송(2)
AWS Lambda를 활용하여 Account Health Event 발생 정보를 Slack으로 전송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설정 및 테스트 과정을 설명합니다.
AWS LambdaSlackAPI Gateway이벤트 관리자동화
2025. 4. 8.
베스핀글로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