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
카카오페이
March 18, 20251회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Effect System을 이용한 의도가 명확한 코드 작성하기
간단 소개
함수형 프로그래밍과 Effect System을 활용하여 사이드 이펙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의도가 명확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AI Summary
- Effect System 개요
- 사이드 이펙트를 명시적으로 관리하고 조합하여 코드의 예측 가능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제시
- Scala의 Cats Effect, ZIO, Kotlin의 suspend 키워드, Algebraic Effects(Kyo, CanThrow) 등 다양한 접근법 소개
- Effect System 적용 및 한계
- IO 모나드를 활용한 Effect System부터 Direct Style Programming, Algebraic Effects 기법까지 사이드 이펙트 관리 방법 소개
- IO를 이용한 Effect System의 한계 (디버깅 어려움, 복잡한 비동기 처리)와 Tagless Final 패턴을 통한 극복 방안 제시
- Effect System 미래
- Algebraic Effects 기법을 활용한 개선 (Scala 3의 CanThrow, Kyo 라이브러리) 소개
- Algebraic Effects는 이펙트를 연산과 핸들러로 구성하여 실행을 나중에 결정하는 기법이며, 코드 이해도를 높이고 성능 병목 지점 발견에 도움
- Kyo 라이브러리는 IO 모나드 Effect System의 러닝커브와 복잡한 합성을 줄이고자 함
Next Feeds
ESBuild를 위한 HMR, 직접 만들기
ESBuild 기반 번들러에서 HMR을 직접 구현하는 과정과 핵심 전략, 그리고 다양한 번들러의 HMR 구현 방식을 비교 분석합니다.
HMRESBuild번들러React Native모듈
2025. 3. 18.
토스
커넥티드카 글로벌 날씨 서비스에서 AWS Step Functions 살펴보기
AWS Step Functions의 주요 기능과 활용 사례, 그리고 실제 개발 경험을 통해 얻은 페이로드 제한 극복 방법을 제시합니다.
AWS Step Functions워크플로서버리스오케스트레이션동적 병렬 처리
2025. 3. 18.
현대자동차

자료구조를 활용한 복잡한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제작하기
토스증권 PC의 복잡한 그리드 레이아웃 UI를 이진 트리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직접 구현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자료구조프론트엔드컴포넌트이진 트리그리드 레이아웃
2025. 3. 18.
토스

네이버 거리뷰3D, 디지털 트윈을 곁들인
네이버 거리뷰3D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통해 현실 공간을 3차원으로 복제, 사용자에게 향상된 공간 정보와 탐색 경험을 제공한다.
디지털 트윈거리뷰3D3차원 매핑MMSP1
2025. 3. 17.
Naver d2
RiGrid: Server Driven UI를 통해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기
리디는 Server Driven UI인 RiGrid를 통해 비즈니스 로직과 UI 데이터의 강결합 문제를 해결하고 서비스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했습니다.
RiGridServer Driven UIGraphQLUI 데이터비즈니스 로직
2025. 3. 17.
리디

Luft's Road to Elasticity - Part 2: Auto-Scaling with Query History
Luft의 쿼리 히스토리 기반 오토스케일러 구축 과정과 비용 절감 및 성능 향상 효과를 분석합니다.
Luft오토스케일링쿼리 히스토리비용 최적화클러스터 매니저
2025. 3. 16.
AB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