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
매드업
April 5, 20221회
선형 모델과 회귀분석의 직관적 이해 (1)

간단 소개
선형 모델의 정의, 장점, 그리고 회귀분석을 통한 데이터 예측의 당위성을 설명합니다.
AI Summary
- 선형 모델의 이해
- 선형 모델은 파라미터에 대한 선형 변환을 만족시키는 모델로 정의되며, 변수 자체는 비선형적일 수 있다.
- 다양한 형태의 모델들이 선형 또는 선형으로 변환 가능하며, 가산성과 동질성을 만족시키는 선형 모델은 계산이 편리하고 해석이 직관적이다.
- 선형 모델의 장점과 활용
- 선형 모델은 복잡한 모델을 단순한 계산으로 분해할 수 있으며, 변수의 효과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복잡한 패턴을 요구하지 않는 데이터에서 견고한 추정이 가능하며, 오버피팅을 방지할 수 있다.
- 회귀분석의 필요성
- 회귀분석은 주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조건부 기댓값을 구하여 데이터 예측의 불확실성을 줄이는 기법이다.
- 조건부 분산의 분해를 통해, 정보를 활용한 조건부 기댓값 추정이 단순 평균 추정보다 더 합리적임을 설명한다.
Next Feeds

asyncio 뽀개기 2 - Future의 활용
asyncio Future를 활용하여 비동기 프로그래밍에서 흐름을 제어하고, 콜백 등록 및 Future 발행을 통해 효율적인 코드 작성 방법을 제시합니다.
asyncioFuture비동기 프로그래밍콜백Semaphore
2022. 4. 4.
버즈빌

Redshift DW에서 PG DM을 만드는 여정
Redshift DW의 성능 문제 해결을 위해 PostgreSQL DM을 구축하고, DBLINK, 프로시저 자동 생성, Vacuum 설정 등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한 여정.
RedshiftPostgreSQLData MartDBLINKVacuum
2022. 4. 1.
매드업
고객의 불편함이 제품으로 되기까지 - Airbridge API 팀의 개발 프로세스
Airbridge API 팀의 고객 중심 개발 프로세스를 소개하고, 각 단계별 개발자의 역할과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효율성 향상을 설명합니다.
Airbridge개발 프로세스API테스트 자동화코드 리뷰
2022. 3. 30.
AB180

asyncio 뽀개기 1 - Coroutine과 Eventloop
asyncio의 Eventloop과 코루틴 개념 설명 및 이를 활용한 동시성 구현 방법을 제시하고, Future 객체의 역할 강조.
asyncioEventloop코루틴Future동시성
2022. 3. 30.
버즈빌
![[여의도 43층 사람들] Android 팀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https://blog.banksalad.com/static/e4fe3f38edbfe31f330dfead010c0f3c/cover.png)
[여의도 43층 사람들] Android 팀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뱅크샐러드 Android 팀의 개발 문화, 기술 스택, 인재상에 대한 Q&A를 통해 팀의 특징과 추구하는 가치를 소개합니다.
Android뱅크샐러드개발 문화Clean Architecture인재상
2022. 3. 30.
뱅크샐러드

DynamoDB를 사용하는 Go 서비스의 응답 시간 최적화 #2 TLS Handshake
Go 서비스에서 DynamoDB 사용 시 TLS Handshake로 인한 응답 시간 지연 문제 분석 및 해결 시도, Go HTTP 커넥션 풀과 DynamoDB에 대한 이해를 높임.
DynamoDBGoTLS Handshake응답 시간커넥션 풀
2022. 3. 29.
버즈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