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
티맵모빌리티
May 9, 20241회
TMAP 대중교통이 티맵 안으로 들어온 이유 - 26편 – Reactive Programming으로 재탄생한 대중교통
간단 소개
TMAP 대중교통이 티맵에 통합되면서 Reactive Programming을 통해 서비스 재구축, 성능 향상 및 사용자 경험 개선을 목표로 합니다.
AI Summary
- TMAP 대중교통의 변화
- 기존 'TMAP 대중교통' 앱을 티맵에 통합, 기술 부채 해결 및 AWS 환경으로 재구축.
- 다양한 언어 사용으로 인한 유지보수 어려움을 극복하고, Spring Cloud로 전환.
- 재구축 과정 및 기술적 접근
- 점진적 전환 방식을 통해 API, Consumer 서비스, DB 순으로 이전.
- Reactive Programming 기반의 Consumer 서비스 개발, Asynchronous/Non-Blocking 방식 활용.
- Coroutine을 사용하여 비동기 처리 효율성을 높이고, Kafka를 통해 대용량 데이터 처리.
- 결론 및 향후 계획
- Reactive Redis 채택으로 데이터베이스 성능 향상, 지하철 노선도 및 하차 알림 기능 추가 예정.
- 티맵 대중교통 서비스의 사용자 확대 및 기능 개선을 통해 더 나은 모빌리티 경험 제공 목표.
Next Feeds

styled-components가 런타임에 css를 주입하는 방법
styled-components는 런타임에 CSS를 주입하여 스타일링하는 CSS-in-JS 라이브러리로, 컴포넌트 생성부터 스타일 주입까지의 핵심 동작 과정을 분석한다.
styled-componentsCSS-in-JS런타임 CSS 주입스타일링React
2024. 5. 8.
크리에이트립

보다 현대적인 UI/UX를 적용하기
부스터스 자동화 시스템 '부스타'의 UI/UX 개선 과정과 디자인 트렌드 적용, 향후 개선 방향을 담은 글입니다.
UI/UX부스타머티리얼 디자인개인화반응형 디자인
2024. 5. 8.
부스터스
Next.js 캐싱으로 웹 서버 성능 최적화
Next.js 캐싱 전략을 활용하여 웹 서버 성능을 최적화하고, Full Route Cache 적용으로 TPS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Next.js캐싱Full Route Cache성능 최적화SSR
2024. 5. 3.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Next.js 캐싱으로 웹 서버 성능 최적화
Next.js 캐싱 전략(Full Route Cache)을 활용하여 웹 서버 성능을 최적화하고 TPS를 5~10배 향상시킨 경험을 공유합니다.
Next.js캐싱Full Route CacheSSR성능 최적화
2024. 5. 3.
카카오엔터테인먼트FE

Querydsl에서 Kotlin JDSL 으로
Querydsl에서 Kotlin JDSL로의 전환 배경, 이유, 방법 및 팁을 공유하고, 실제 전환 과정에서 겪었던 이슈와 해결 방안을 제시합니다.
QuerydslKotlin JDSL쿼리 빌더JPA마이그레이션
2024. 5. 3.
스포카

테라폼의 풍미를 더해주는 서버 설정 자동화 한 스푼 🥣
테라폼을 활용하여 서버 설정 자동화를 구축하고, AWX, Prometheus와 연동하여 효율적인 온프레미스 환경을 구축한 경험을 공유합니다.
테라폼자동화AWXPrometheus인프라
2024. 5. 2.
카카오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