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
VCNC
April 18, 20131회
비트윈 시스템 아키텍처
간단 소개
비트윈의 시스템 아키텍처 변천 과정과 현재 구조, 그리고 미래 아키텍처 개선 방향을 제시합니다. 기술 스택, AWS 활용, 샤딩 전략 등이 포함됩니다.
AI Summary
- 비트윈 시스템 아키텍처 개요
- 비트윈은 커플을 위한 모바일 앱으로, 다양한 기능 제공.
- 초기 아키텍처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 아키텍처 방향 제시.
- Java, Netty, Thrift, HBase, ZooKeeper 등의 기술 스택 사용.
- 현재 아키텍처 및 문제점
- AWS의 Tokyo 리전에서 운영, EC2, EBS, S3, ELB, CloudWatch 활용.
- HTTP 요청은 ELB를 통해 분산, 채팅은 TCP 기반 프로토콜 사용.
- 커플 샤딩 단위로 서버를 운영하며, Consistent Hashing 적용.
- 프로토콜 복잡성, ELB Warm-up 필요, HBase Write 연산 시 Multi-AZ 구성 어려움 등의 단점 존재.
- 미래 아키텍처 방향
- Haeinsa를 통한 HBase 트랜잭션 지원으로 복잡한 기능 개발 가속화.
- Multitier Architecture 도입으로 클라이언트-서버 간 프로토콜 단순화 및 Auto-Scale 용이.
- Rocky 프로젝트를 통해 API 서버 Auto-Failover 및 샤딩 관리 자동화.
- HBase Row를 리전에 수동 할당하여 특정 샤드에 장애가 국한되도록 구성, Multi-AZ 구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