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는 암호화되지 않아 데이터가 노출될 위험이 ⚠️ 있습니다.
- HTTPS는 TL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합니다. 🛡️
- 대칭 키 암호화는 키 탈취 시 보안에 취약하며, 키 공유의 어려움이 🔑 있습니다.
- 비대칭 키 암호화는 공개 키와 개인 키를 사용하며, 데이터의 출처를 입증합니다. ✍️
- TLS 1.2 RSA 방식은 서버 개인 키 노출 시 과거 통신 내용이 복호화될 수 있습니다. 🔓
- TLS 1.3 ECDHE 방식은 순방향 비밀성을 제공하여 과거 데이터 보호가 가능합니다. 🔒
- ECDHE 방식은 임시 키를 생성하여 세션 키 노출 위험을 줄이고, 네트워크 왕복 횟수를 단축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