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Tiny URL - System Design Whiteboard Interview (URL shortener)

TechPrep

2025. 10. 18.

0

#backend
#infra
  • 비기능 요구사항 (NFRs) 정의: 시스템의 품질(가용성 99%, 단축/리다이렉트 저지연 <100ms/<200ms, 내구성 11-나인)을 명확한 정량적 지표와 함께 제시하여 시스템의 목표를 설정합니다. 🎯
  • 핵심 엔티티 식별: URL 매핑 (단축 URL-원본 URL), 사용자 (선택 사항), 분석 (접근 메타데이터)의 세 가지 주요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여 시스템의 데이터 구조를 파악합니다. 📊
  • API 디자인: 단축 URL 생성 (POST /urls, 201 Created) 및 리다이렉트 (GET /{short_code}, 301 Moved Permanently)를 위한 RESTful API 엔드포인트를 HTTP 메서드, 경로, 상태 코드, 페이로드와 함께 설계합니다. 🔗
  • 고수준 시스템 아키텍처: 클라이언트, 로드 밸런서,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기본 아키텍처를 구성하여 기능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시스템의 큰 그림을 그립니다. 🏗️
  • 단축 URL 생성 알고리즘 심층 분석: 초기 Count Cache 대신 Zookeeper를 활용하여 분산 환경에서 서버별 고유 숫자 범위 할당 및 Base62 변환을 통해 충돌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확보합니다. 🔢
  • 빠른 리다이렉트를 위한 캐싱 전략: 리다이렉트 속도 향상 및 데이터베이스 부하 감소를 위해 MemcachedRedis와 같은 캐시를 도입하고, LRU (Least Recently Used)와 같은 적절한 캐시 제거 정책을 적용합니다. 🚀
  • 단축 URL 생성 엔드투엔드 흐름: 클라이언트 요청부터 로드 밸런싱, 웹 서버의 URL 생성 (Zookeeper 활용), 데이터베이스 저장, 캐시 저장 (선택), 최종 응답까지의 전체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 📝
  • 단축 URL 접근 및 리다이렉트 엔드투엔드 흐름: 클라이언트의 단축 URL 접근 요청부터 로드 밸런싱, 웹 서버의 캐시 확인 (캐시 히트/미스 처리), 데이터베이스 조회, 최종 301 영구 리다이렉트까지의 과정을 명확히 제시합니다. 🔄
  • 시스템 설계 면접 준비 및 피드백 활용: 화이트보딩 도구 사용, 실시간 음성 설명 연습, 질문 및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인 개선 과정을 강조하여 실제 면접 상황에 대비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