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Get Ahead of 90% of Vibe Coders (Spec-Driven Development)
-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즉흥적인 '바이브 코딩'은 간단한 프로젝트에는 유용하지만,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에는 잦은 막다른 길과 비효율적인 '피드백 루프의 죽음'으로 이어진다. 🚧
- 비코더와 코더 모두 바이브 코딩으로 인해 생산성 저하와 좌절을 경험하며, 심지어 기본적인 로그인/결제 기능 구현에도 어려움을 겪어 많은 프로젝트가 미완성으로 남게 된다. 📉
- '사양 주도 개발(Spec-Driven Development, SDD)'은 바이브 코딩의 무작위성을 극복하고 예측 가능한 고품질 결과물을 얻기 위해 '가드레일'과 '작업 흐름 조건화'를 도입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다. 🛣️
- SDD는 전통적인 개발 방식의 경직성('경직성 사망') 없이, 의도를 가지고 개발의 엄격함을 높여 더 나은 결과와 높은 품질을 추구하는 '의도 기반 개발'을 지향한다. 🎯
- OpenSpec, GitHub SpecKit, Kiro, TESOL과 같은 CLI 도구들은 AI 에이전트(Codex, Cloud Code 등)에 플러그인되어, 변경 제안, AI와의 검토 및 정렬, 코드 작성, 문서 업데이트 등의 체계적인 워크플로우를 제공한다. 🛠️
- SDD는 AI 에이전트가 단순한 코드 작성자를 넘어, 계획, 구축, 테스트, 배포 등 개발 팀원이 수행하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에이전트 원칙을 도입하여 역할을 강화한다. 🤖
- SDD는 개발 시작 전에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고, 계획을 세우며, 설계를 하는 등 좋은 조직화와 계획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AI가 길을 잃지 않고 실행 가능한 작업 목록을 생성하도록 돕는다. 📝
- 이 접근 방식은 아직 진화 중이며, 향후 서브시스템이나 구성 요소를 활용하여 더욱 견고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모든 개발자의 역량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