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코스 3차] 템플릿 프로젝트 컨트리뷰션 함께 해보아요!
-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파일, 런타임 환경을 패키징하고 격리하는 기술이다. 📦
- 컨테이너는 OS 수준에서 가상화되어 VM보다 리소스 효율성이 높고 시작 시간이 빠르다. 🚀
- 도커 파일은 컨테이너 이미지를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로, 베이스 이미지 설정, 패키지 설치, 디렉토리 설정, 파일 복사, 실행 명령어 등을 정의한다. 📝
- 환경 변수 주입을 통해 컨테이너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도 다양한 환경(개발, 검증, 운영)에 동일한 컨테이너를 배포할 수 있다. ⚙️
- 컨테이너 리스타트 정책을 설정하여 장애 발생 시 컨테이너를 자동으로 재시작할 수 있다. 🔄
- 도커 컴포즈는 여러 컨테이너를 함께 관리하고 실행하기 위한 도구로, 컨테이너 간의 의존성, 네트워크, 볼륨 등을 정의할 수 있다. 🤹
- 볼륨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내부의 데이터를 외부 저장소에 마운트하여 컨테이너 재시작 시에도 데이터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
- 표준 프레임워크 템플릿 프로젝트에 도커 파일 및 도커 컴포즈 설정을 추가하여 컨테이너 기반 배포를 지원할 수 있다. 🏗️
- MSA 템플릿은 이미 도커 파일과 도커 컴포즈를 포함하고 있어 컨테이너 환경을 쉽게 구축할 수 있다. 🏢
- 도커 컴포즈를 사용하여 여러 컨테이너를 한 번에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도커 명령어를 사용하여 개별 컨테이너를 제어할 수도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