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요즘 신입개발자를 뽑지 않는 경제 외적인 이유.

팀노바

2025. 10. 24.

0

#etc
  • 평생 직장 개념 소멸과 기업의 리스크 회피: 한국 IT 업계의 짧은 근속 기간(평균 3년)으로 인해, 기업들은 1년간의 신입 교육 투자(급여 포함)를 큰 리스크로 간주하며, 이는 경력직 채용이 더 효율적이라는 판단으로 이어진다. 📉
  • 신입 개발자의 높은 기대치와 현실의 괴리: 대부분의 기업은 신입을 교육시켜 오래 붙잡아 둘 여력이 없으며, 네카라쿠배당토 같은 소수 대기업조차 경력직을 선호하는 현실에서, 신입이 완벽한 교육과 복지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
  • 한국의 낮은 근로 생산성: OECD 국가 중 중하위권에 속하는 한국의 근로 생산성은 긴 근로 시간에 비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으며, 이는 기업이 교육 비용이 드는 신입보다 즉시 투입 가능한 경력직을 선호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
  • 기업의 배려를 권리로 착각하는 경향: 신입 개발자 교육은 회사의 배려였으나, 이를 당연한 권리로 여기고 교육만 받은 후 이직하는 '체리 피커' 행태가 만연하여 기업들이 신입 채용을 꺼리게 되었다. 🍒
  • 남탓 대신 자기 성찰의 중요성: 세상은 본질적으로 불공평하며, 외부 환경이나 타인을 탓하는 것은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저해하고 우울감을 증폭시킨다. 묵묵히 꾸준히 노력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 🧘
  • 부자에 대한 오해와 세금 기여: 부자들은 높은 세금(양도세, 상속세 등)을 통해 국가 복지와 인프라에 크게 기여하므로, 그들을 무조건적으로 증오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다. 💰
  • 인류 역사의 반복과 본질적 인간성: 인간의 본성과 사회적 패턴은 시대와 문명을 초월하여 반복되며, 현재 세대가 과거와 압도적으로 다르다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하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