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M 채용 시장의 어려움: 현재 경기가 좋지 않고 AI 기술 발전(특히 2024년 중반 이후 생성형 AI)이 업무 생산성을 높여 인력 대체 가능성을 시사하며, 링크드인에 'Open to Work' 배지가 흔해질 정도로 PM을 포함한 전반적인 취업 시장이 매우 어렵습니다. 📉
불안감을 이용하는 '약팔이'의 등장: 취업난으로 인한 구직자들의 불안감과 절박함을 이용해, 글쓰기를 통한 오디언스 구축 및 상품 판매와 같은 이론적으로만 그럴듯한 성공 공식을 제시하며 돈을 버는 이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
'글쓰기-오디언스-판매' 전략의 비현실성: 매일 자극적인 글쓰기의 어려움, 노출 부족으로 인한 오디언스 미확보, 상품 구매 의사가 없는 오디언스, 플랫폼의 노출 제한 등 실제로는 작동하기 어려운 구조이며, 결국 이 전략으로 돈을 버는 것은 구직자가 아닌 전략을 제시하는 사람입니다. ✍️
PM 부트캠프의 '해병대 캠프' 비유: 부트캠프는 실제 해병대 훈련이 아닌 '체험'에 불과하며, 한 달간의 '토이 프로젝트' 경험은 실제 회사 프로젝트에 투입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지 못합니다. PMF(Product-Market Fit)를 찾는 것은 매우 어렵고, 실질적인 경험은 2~3년간의 회사 내 도제식 교육을 통해 쌓입니다. 🏕️
부트캠프 수료가 취업에 미치는 영향 미미: 기업은 부트캠프 수료 여부를 채용의 주요 기준으로 보지 않으며, 현재 PM 채용 수요 자체가 부족한 상황에서 부트캠프는 근본적인 취업 문제를 해결해주지 못합니다. 오히려 학점, 학교, 면접 시 논리적 사고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등 기본적인 역량을 더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
부트캠프 운영자만 이득: 취업이 절박한 구직자들이 부트캠프에 돈을 지불하지만, 실질적인 취업 성공으로 이어지지 않아 결국 돈을 버는 것은 부트캠프 운영자들뿐이며, 구직자들은 시간과 돈을 잃게 됩니다. 💸
현실적인 PM 취업 전략: 현재 수요가 없는 상황에서 부트캠프보다는 논리력과 스마트한 대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며, 가능하다면 어떤 역할로든 회사에 먼저 입사하여 내부에서 PM 포지션으로 전환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
불안감에 현혹되지 말 것: 취업 준비생들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 유혹적인 제안에 넘어가기 쉽지만, 본질적인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약팔이'에 현혹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