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Godot –Casey Dahlgren, Sarah Nuse – GodotCon 2025
- 팀 협업의 중요성: 팀원이 구현 과정을 이해하면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고, 업무 분담이 유연해지며,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됨. 🤝
- 버전 관리 필수: 팀 규모가 1명 이상이면 버전 관리를 사용해야 함. 버전 관리가 없으면 팀원들이 엔진을 두려워하게 됨. 💾
- Godot 노드의 장점: 노드는 간단하고 직관적인 개념으로, 엔진의 기본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줌. 🧩
- Godot 씬 트리: 씬 트리를 통해 씬의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고, 필요한 기능을 쉽게 찾을 수 있음. 🌳
- 커스텀 리소스 활용: 아이템, 레시피, NPC 등 게임 콘텐츠 관리에 유용하며, 툴 로직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으로 만들 수 있음. ⚙️
- Godot 내장 타입의 편리함: 커브 에디터, 텍스처 에디터 등 다양한 내장 에디터를 활용하여 팀원의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 UI 디자이너를 위한 Godot: 웹 기반 UI 디자인과 유사하여 UI 디자이너가 쉽게 적응할 수 있으며, Figma와의 연동도 용이함. 🖼️
- 기존 워크플로우 활용: 팀원의 기존 작업 방식을 파악하고, 유사한 언어와 워크플로우를 사용하여 엔진 적응을 도움. 🔄
- 자체 툴 및 플러그인 개발: Godot의 기본 기능이 부족한 부분을 자체 툴이나 플러그인으로 보완하여 팀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