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aking (and Fixing) Unreal: An Engineer’s Guide to Problem-Solving | Unreal Fest Bali 2025
- 언리얼 엔진 문제 해결은 단순히 버그 수정 이상으로, 문제 식별, 데이터 검증, 위험 평가, 디버깅 전략 적용을 포함하는 체계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
- 언리얼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문제는 크게 구현/성능, 엔진/시스템 통합, 기술 부채/아키텍처, 범위 확장(Scope Creep)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으며, 문제 유형 분류는 해결에 필요한 팀원 구성에 중요합니다. 🧩
- 복잡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는 전체를 한 번에 해결하려 하지 말고, 문제를 세분화하고, 알려진 것과 모르는 것을 명확히 하며, 변수를 제거하여 조사 범위를 좁혀야 합니다. 🔬
- 문제 해결의 첫 단계는 정확한 문제 식별입니다. 재현성, 플랫폼 특이성, 최근 변경 사항 등 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문제의 범위를 명확히 해야 합니다. ❓
- 실제 사례: 언리얼 엔진 5.3.4 업그레이드 후 발생한 간헐적인 종료 크래시는 재현이 어려웠으나, 스택 추적 분석, 발생 빈도 및 하드웨어 독립성 확인, 메모리 안전성 및 스레드 라이프사이클 검토를 통해 해결되었습니다. 💥
- 개발자들이 흔히 저지르는 실수는 증거 없이 증상만으로 추측하는 것입니다. 항상 프로파일링 및 디버깅 도구를 사용하여 가정을 검증하고 근본 원인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확보해야 합니다. 💡
- 언리얼 인사이트(Unreal Insights)는 언리얼 엔진의 핵심 프로파일링 도구로, 병목 현상을 식별하고 성능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 시각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성능 최적화 사례: 다중 플랫폼 타이틀에서 90FPS 목표 달성을 위해
stat unit, stat fps 및 스코프 추적 이벤트를 활용하여 AI, 애니메이션, 물리 틱, GPU 활성 시 메모리 경합 등 다양한 병목 현상을 식별했습니다. 🚀
- 블루프린트에서
Get Component by Class나 Has Matching Gameplay Tag와 같이 반복적으로 데이터를 복사하는 비효율적인 노드 사용을 피하고, C++로 로직을 옮기거나 데이터를 캐싱하여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 CPU와 GPU 간 공유 메모리 사용 시 발생하는 메모리 경합은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자주 접근하는 값을 캐싱하고 관련 데이터를 구조체로 묶어 전달하는 등 메모리 접근 패턴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