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tivity 컴포넌트: 조건부 렌더링의 새로운 대안으로, 컴포넌트가 'hidden' 상태일 때 DOM에서 display: none으로 설정하여 상태를 유지하고, 이펙트는 언마운트하며 업데이트를 지연시킵니다. 데이터 사전 로딩과 같은 사전 렌더링 시나리오에 완벽합니다. 🎭
useEffectEvent 훅: useEffect 내에서 최신 상태 및 props 값을 안전하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이펙트 재실행 없이 종속성 배열 문제를 해결합니다. 사용자 이벤트가 아닌 이펙트에서 발생하는 "이펙트 이벤트"에 유용합니다. 💡
cache signal: 서버 컴포넌트의 cache 기능을 확장하여, React 렌더링이 취소되거나 조기에 완료될 경우 (예: 사용자 이탈, 오류)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비동기 작업을 중단시키는 AbortSignal을 제공하여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를 방지합니다. 🛑
성능 트랙 (Chrome DevTools): Chrome 개발자 도구의 성능 프로필에 사용자 정의 트랙을 추가하여, React의 스케줄러 작업(우선순위별)과 컴포넌트 렌더링 및 이펙트 실행 시간(마운트, 블록 등)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여 앱 성능 분석을 돕습니다. 📈
부분 사전 렌더링 (ReactDOM): React DOM에 내장된 기능으로, 클라이언트에 정적 셸(prelude shell)을 먼저 반환하고 나중에 나머지 부분을 렌더링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합니다. 주로 프레임워크 개발자를 위한 기능입니다. 🏗️
ESLint 플러그인 업그레이드: 새로운 플랫 설정을 지원하며, React 컴파일러 기반 규칙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코드베이스가 React 컴파일러의 이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