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버는 컴퓨터를 잘 다룰 것이라는 편견과 달리, 새로운 것을 배우는 데 어려움을 느껴 디지털 환경에 적응하기 힘들어한다. 💻
- 취미 유튜버로서 유튜브 수익 창출의 어려움을 느끼며, 쇼츠 영상 조회수 대비 수익이 매우 낮아 본업으로 삼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다. 💸
- 유튜브 콘텐츠 제작 시 목소리, 대본, 썸네일, 편집 등 다양한 요소에서 어려움을 겪으며, 특히 썸네일 제작에 대한 미적 감각 부족을 자각한다. 🎨
- TTS 사용 시 '재생성된 콘텐츠'로 분류될 위험 때문에 TTS를 사용하지 못하고, 썸네일 및 편집 외주를 줄 수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한다. 🎤
- 제목 선정에 있어서도 지나치게 전문적이거나 씹덕스러운 용어 사용을 지양하고, 대중적인 이해를 돕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느낀다. 📚
- 컴맹으로서 영상 편집 툴 사용에 어려움을 느껴, 코딩을 이용한 영상 제작 방식으로 전환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시도한다. ⚙️
- 외국 개발자들의 코딩 기반 영상 편집 방식(파이썬, 리액트)을 참고하여 자신에게 맞는 리액트 기반의 영상 제작 방식을 모색한다. 💡
- 영어 사용의 어려움을 느끼며, 팀 내 외국인과의 협업 시 영어 구사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유튜브 채널 운영 방향에 대한 고민을 드러낸다. 🗣️
- 유튜브 알고리즘 특성상 다국어 채널 운영의 어려움을 설명하며, 영어 콘텐츠 제작 시 새로운 채널 개설의 필요성을 언급한다. 🌐
- 개발 관련 콘텐츠의 낮은 조회수와 개인적인 씹덕 성향이 유튜브 채널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자평하며, 대중적인 취향과의 괴리를 인정한다. 😔
- 기존에 시도했던 학벌 관련 콘텐츠가 더 이상 효과적이지 않음을 인지하고, 새로운 콘텐츠 주제 발굴의 어려움을 토로한다. 😥
- 시리즈물 콘텐츠 제작에 대한 회의감을 드러내며, 20대 초중반의 타겟층에게는 새로운 콘텐츠가 더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린다. 🎬
- 코딩 실력을 활용한 게임 개발 시도 역시 실패로 돌아갔음을 밝히며, 유튜브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을 재차 강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