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 Vibe Coding - MCP는 왜 이름이 MCP일까? 이게 왜 필요할까?
- MCP는 모델, 콘텍스트, 프로토콜의 약자로, AI 모델에 콘텍스트를 전달하기 위한 약속(프로토콜)을 의미한다. 🤝
- 콘텍스트는 AI가 지시를 이행하고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제공되는 충분한 데이터이다. 🧠
- 프로토콜은 상호 합의된 약속으로, HTTP와 같이 데이터 형식을 정의하고 통신 방식을 규정한다. 🗂️
- MCP는 주로 JSON 형식을 사용하며,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 규약을 정의한다. ⚙️
- AI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은 AI의 자연어 처리 능력과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기능(파일 관리, 데이터베이스 등)을 결합한 것이다. 💡
- 기존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는 기계와의 통신을 위해 프로토콜이 필수적이었지만, AI 시대에는 자연어 처리를 통해 더 유연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
- MCP는 AI 모델과 기존 어플리케이션 기능을 연결하는 규약으로, AI의 강점을 활용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지원한다. 🔗
- AI는 자연어 이해를 통해 기존 프로토콜 기반 시스템보다 더 유연하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제공한다. 🌟
- 바이브 코딩 툴은 AI 에이전트 어플리케이션의 예시로, 자연어 기반의 코드 수정 및 파일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