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캠프 2025 [Track 1] 6. 빅뱅 방식으로 최선의 개발하기 (김근수)
- SI 개발 방식의 어려움: 짧은 기간, 많은 양, 불명확한 요구사항 등으로 어려움이 많음 😫
- 빅뱅 방식 vs 이터레이션 방식: SI 개발은 빅뱅 방식을 선호하지만, 이터레이션 방식이 더 효율적일 수 있음 🤔
- 트리 구조 정리 방식: 도메인 분석 및 API 스펙 정의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직관적인 이해와 논리적 오류 발견에 용이함 🌳
- 도메인 분석의 중요성: 설계의 시작점으로, 기획 변경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기술적 선택의 근거를 제공함 💡
- API 스펙 정의: HTTP 메서드 기준으로 피그마 화면과 리퀘스트/리스폰스를 트리 구조로 정리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임 ⚙️
- 멀티모듈 적용: 코드 관리, 병렬 작업, 충돌 방지, 재사용성 향상에 기여하며, 개발 생산성을 높임 📦
- 도메인 모듈 격리: 모듈 간 참조를 금지하여 완전한 격리성을 확보하고, 독립적인 개발 환경을 구축함 🛡️
- 테스트 용이성 확보: 도메인 모듈 분리를 통해 테스트하기 어려운 코드 생성을 줄이고, 코드 품질을 향상시킴 ✅
- 프론트엔드와의 협업 강화: API 스펙 정의 단계에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함께 참여하여 효율적인 협업 환경을 구축함 🤝
- 레거시 코드 개선: 멀티모듈 적용을 통해 의도치 않은 의존성을 차단하고, 코드 퀄리티를 향상시켜 레거시 코드 개선에 기여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