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위한 CS 지식] 35강. RDBMS의 기본
- RDBMS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구성하며, 각 테이블은 필드(열)와 레코드(행)로 이루어집니다. 필드에는 숫자, 문자, 날짜/시간 등 다양한 데이터 타입이 지정될 수 있습니다. 📊
- '키(Key)'는 RDBMS의 핵심 개념으로, 테이블 내 특정 레코드를 고유하게 식별하고 테이블 간 관계를 맺으며 접근 속도를 높이는 데 사용됩니다. 🔑
- 후보 키(Candidate Key)는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최소 필드 집합이며, 두 개 이상의 필드로 구성되면 복합 키(Composite Key)라고 합니다. 슈퍼 키(Super Key)는 유일성만 만족하는 필드 집합입니다. 🌟
- 기본 키(Primary Key, PK)는 여러 후보 키 중 테이블당 하나만 선정되는 대표 키로, 반드시 중복되지 않고(유일성) 값이 존재해야 합니다(NOT NULL). 이는 개체 무결성 제약 조건의 핵심입니다. 🛡️
- 외래 키(Foreign Key, FK)는 다른 테이블의 기본 키를 참조하여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는 필드입니다. 이는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과 밀접하게 관련됩니다. 🔗
- 테이블 간의 관계는 1대1, 1대다, 다대다 세 가지 유형이 있으며, 다대다 관계는 일반적으로 중간 테이블을 통해 구현됩니다. 🤝
- 무결성 제약 조건은 데이터의 일관성과 유효성을 유지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주요 유형으로는 도메인, 키, 개체,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이 있습니다. ✅
- 도메인 제약 조건은 필드의 데이터 타입, 값의 범위, NOT NULL 여부, 그리고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원자값' 저장 등을 강제합니다. ⚛️
- 참조 무결성 제약 조건은 외래 키가 참조하는 테이블의 기본 키와 일치하거나 NULL 값을 가져야 함을 규정하며, 참조 대상 테이블의 데이터 변경(삭제/수정) 시 거부, 기본값 설정, NULL 설정, 연쇄 변경(Cascade) 등의 동작 방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