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aude Code 세팅부터 효과적인 워크플로우 방법까지 이 영상에 다 담았습니다.
- 클로드 코드 설치 및 초기 설정 방법: 터미널 명령어를 통해 설치하고,
/.init 명령어로 프로젝트 구조 분석 및 claudedotmd 파일 자동 생성 🚀
claudedotmd 파일 활용법: 프로젝트 구조, 기술 스택, 코딩 스타일 등을 기록하여 클로드 코드의 프로젝트 이해도 향상 (커서 룰즈와 유사) 📝
- MCP 서버 연동: 로컬, 프로젝트, 유저 스코프 방식으로 MCP 서버 연동 가능하며, 클로드 쏘넷 4 모델에서 특히 뛰어난 성능을 보임 🤖
- 작업 모드 변경: Shift+Tab 키로 Accept 모드(코드 변경)와 Plan 모드(계획 수립) 전환 가능 💡
- To-Do 리스트 활용: 복잡한 작업 시 To-Do 리스트 자동 생성 기능 활성화하여 작업 효율 증대 ✅
- 아웃풋 스타일 설정: 기본 제공 스타일 외에 사용자 지정 스타일 생성 가능 (재미있는 말투, 유머 등) 🎉
- 서브 에이전트 활용: 분야별 특화 에이전트를 병렬 처리하여 개발 속도 향상 (각 에이전트별 컨텍스트 최적화) 🧑💻
- 훅스(Hooks) 기능 활용: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자동 실행되는 쉘 명령어 등록 (코드 포매터, 알림 등) 🔔
- 슬래시 명령어 활용: 대화 기록 지우기, 이전 세션 불러오기, 커스텀 명령어 생성 등 다양한 기능 제공 ⌨️
- 배시(Bash) 명령어 실행: 클로드 코드 내에서 직접 배시 명령어 실행 가능 (터미널 명령어 진행 상황을 컨텍스트로 활용) 🐚
- 바이패스 퍼미션 모드: 클로드 코드에 완전한 자율성 부여 (개발 컨테이너 활용 권장) 🛡️
- 유용한 서비스 소개: CC 유세지(클로드 코드 사용량 확인), 슈퍼클로드(생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