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lect는 사실 안 써도 되고 몰라도 됩니다. 그러나 단방향 데이터 흐름은 알아야 합니다(왜 FLUX 패턴이 나왔는가!!!)
- 리플렉트는 몰라도 되지만, 단방향 데이터 흐름은 반드시 알아야 한다. ➡️ unidirectional flow is important 🌊
- 리덕스는 플럭스 패턴 이해를 위한 중요한 도구이다. 🛠️
- 양방향 데이터 바인딩은 위험하며, 플럭스 패턴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단방향 데이터 흐름을 제시한다. 🔄➡️
useState
는 원본 스테이트가 아닌 게터를 통해 값을 가져오는 것이다. 🎣
- 보호받는 객체는 세터를 통해서만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직접 수정은 금지된다. 🛡️
Object.freeze()
를 사용하여 객체를 불변하게 만들 수 있다. 🧊
- 얕은 복사(shallow copy)를 통해 프리즈된 객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
- 리플렉트를 사용하면 세터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즉시 확인할 수 있다. 🔍
- 프리즈는 객체의 위변조 공격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
- 리플렉트는 값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때 트루/폴스 형태로 반환하여 에러 캐칭을 간결하게 해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