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Make Dust Effect in a 2D Game while Player Jumps | Unity 6 Beginner tutorial
- 2D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점프할 때 먼지 효과를 만드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 먼저 먼지 스프라이트들을 프로젝트에 임포트하고, 픽셀/단위 값을 조정하여 스프라이트 크기를 키우고, 필터 모드를 'Point'로 설정하여 흐릿함을 제거합니다. 🖼️
- 스프라이트 모드를 'Single'로 설정하여 개별 스프라이트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합니다. ⚙️
- 모든 스프라이트의 피벗 포인트를 'Bottom Center'로 설정하여 먼지 효과가 바닥에서부터 시작되도록 합니다. ⚓
- 스프라이트들을 드래그하여 애니메이션을 생성하고, 애니메이션 클립이 반복되지 않도록 'Loop Time'을 해제합니다. 🎬
- 먼지 효과 게임 오브젝트를 프리팹으로 만들어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
- 플레이어 게임 오브젝트에 'OnCollisionExit2D' 함수를 사용하여 플레이어가 땅에서 떨어질 때 먼지 효과를 생성합니다. 📜
- 먼지 효과를 생성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 플레이어 게임 오브젝트의 자식으로 빈 게임 오브젝트(먼지 효과 스폰 위치)를 생성합니다. 📍
- 먼지 효과 프리팹과 스폰 위치에 대한 참조를 스크립트에 추가하고, 'Instantiate' 함수를 사용하여 먼지 효과를 생성합니다. ✒️
- 먼지 효과가 생성된 후 자동으로 사라지도록 코루틴을 사용하여 일정 시간 후에 게임 오브젝트를 파괴합니다. ⏳
- 먼지 효과가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따라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먼지 효과의 방향을 조정합니다. 🔄
- 추가적으로, 먼지 효과의 크기를 랜덤하게 조절하여 더욱 자연스러운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