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wo concurrent paths I'd take learning to code today
- 코딩 학습 시 두 가지 경로를 병행해야 합니다: AI를 활용한 대규모 프로젝트와 AI 없이 해결하는 소규모 문제 해결. 🚀
- AI를 활용한 대규모 프로젝트는 면접 시 좋은 대화 주제가 되며, 고용주에게 동기 부여와 헌신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 AI 도구(예: Claude Code)를 사용하여 기능 구현, 버그 수정, 코드 리팩토링을 하되, AI가 생성한 모든 코드 변경 사항을 반드시 검토해야 합니다. 🧐
- 몇 달 동안 대규모 프로젝트에 매일 기능을 추가하며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막히는 부분에서는 스스로 디버깅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
- 지속적인 배포(Netlify, Vercel 등)를 설정하여 데이터베이스, GitHub 배포, Git 커밋 등 실제 산업 환경에 노출되어야 합니다. 🌐
- AI 없이 소규모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HTML, CSS, JavaScript(또는 React/Vue)의 기본 구문과 작동 방식을 깊이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작은 UI 구성 요소(사이드바, 드롭다운, 모달 등)를 직접 만들고, 반응형 및 접근성 있는 UI를 구현하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 🎨
- LeetCode와 같은 코딩 문제, 디자인 패턴(Gang of Four), SOLID 원칙, 의존성 주입 등 고수준의 개념을 학습하여 기초를 다져야 합니다. 🧠
- AI를 사용하더라도 AI가 수정한 버그나 생성한 코드의 '이유'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능력 향상으로 이어집니다. 🤖
- 이 두 가지 접근 방식을 균형 있게 병행하는 것이 주니어 엔지니어로서 취업에 성공하고 현업에서 효율적으로 일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