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을 위한 CS 지식] 28강.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은 신호를 주고받고, 데이터 링크 계층은 맥 주소 기반 호스트 식별 및 오류 확인 📡.
- 이더넷은 물리/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반 기술이며, IEEE 802.3 표준을 따름 ⚙️.
- 이더넷 프레임은 헤더, 페이로드, 트레일러로 구성되며, 맥 주소(송/수신지)가 중요 정보임 🏷️.
-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랜 케이블)은 유선 통신 매체이며, 카테고리 및 차폐 방식에 따라 성능이 달라짐 🛡️.
- 와이파이는 IEEE 802.11 표준 무선 랜 기술이며, 주파수(2.4GHz, 5GHz) 및 채널로 구분됨 📶.
- 닉(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은 노드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며, 맥 주소를 가짐 🎛️.
- 허브는 물리 계층 장비로 신호를 모든 포트에 전달, 반이중 통신, 콜리전 도메인 문제 발생 ♻️.
-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 장비로 맥 주소 기반 특정 포트 전달, 전이중 통신, 맥 주소 학습 기능 제공 🌉.
- V렌은 스위치 기능으로, 논리적 네트워크 분할 가능, 브로드캐스트 도메인 분리 효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