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취업을 위한 CS 지식] 28강.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한빛미디어

2025. 8. 29.

0

#infra
  • 물리 계층은 신호를 주고받는 최하위 계층이며, 데이터 링크 계층은 맥 주소를 기반으로 호스트를 식별하고 오류를 검사합니다. 📡
  • 이더넷은 물리 및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반 기술로, IEEE 802.3 표준을 따르며, 최신 표준일수록 속도가 빠릅니다. ⚡
  • 이더넷 프레임은 헤더, 페이로드, 트레일러로 구성되며, 수신지/송신지 맥 주소와 타입/길이 정보가 중요합니다. 📦
  • MTU는 이더넷 프레임으로 전송 가능한 최대 데이터 크기로, 일반적으로 1500바이트입니다. 📏
  • 유선 통신 매체인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은 카테고리 및 차폐(STP, FTP, UTP) 종류에 따라 성능이 달라집니다. 🛡️
  • 무선 통신 매체인 와이파이는 IEEE 802.11 표준을 따르며, 2.4GHz/5GHz 주파수와 채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분합니다. 📶
  • AP(액세스 포인트)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장비이며, SSID는 특정 무선 네트워크를 식별하는 정보입니다. 🌐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는 노드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며,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 매체의 신호를 프레임으로 변환합니다. 🌉
  • 허브는 물리 계층 장비로, 수신한 신호를 모든 포트에 전달하며 반이중 통신을 사용해 충돌 가능성이 높습니다. 📢
  •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 계층 장비로, 맥 주소를 기반으로 특정 포트에만 신호를 전달하며 전이중 통신을 지원합니다. 🚦
  • 스위치는 맥 주소 학습 기능과 VLAN을 통해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