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DoorDash Uses AI in Their Architecture to Handle Millions of Data
- DoorDash는 레스토랑 배달 외에도 소매 상품 판매에 도전하면서 제품 정보 관리라는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습니다. 🏪
- 수백만개의 제품 정보는 간단히 구분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고 상세한 SKU (stock keeping unit)를 통해 관리되어야 합니다. 🗃️
- SKU 정의는 고객 경험 개선, 배달 드라이버의 효율성 증대, 맞춤형 추천 & 프로모션 가능하게 합니다. 🎯
- 기존에는 외부 컨설턴트에게 SKU 표준화 및 개선 작업을 위탁했으나, 비용 부담과 오류 발생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
- DoorDash는 인공지능, 특히 대규모 언어 모델(LLMs)을 도입하여 제품 정보 자동 처리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
- LLMs은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브랜드 추출, 유기농 제품 라벨링, SKU 중복 제거 등의 작업에 활용되었습니다. 🥑
- 특히, ‘복합 문맥을 이해하는 Retrieval Augmented Generation’을 통해 제품 정보 라벨링 과정을 효율화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