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코드 도구 NIDN, Gmail, Open Router를 활용하여 들어오는 모든 이메일을 자동으로 분류하고 라벨링하는 인박스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
- 이 시스템은 단순한 이메일 분류를 넘어 완전한 인박스 관리자로 확장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
- 시스템 구축 전, 전체 프로세스를 시각적 다이어그램(와이어프레임)으로 명확하게 매핑하는 것이 성공적인 구현의 핵심입니다. 🗺️
- 워크플로우는 Gmail에 새 이메일이 수신될 때 트리거되며, 이메일의 제목, 본문 및 메타데이터를 AI 분류기에 전달합니다. 📧
- AI 분류기 노드는 이메일의 제목과 본문을 분석하여 '고객 지원', '재무/청구', '중요', '프로모션'과 같은 미리 정의된 4가지 범주 중 하나로 분류합니다. 🧠
- 분류된 이메일은 Gmail 라벨링, AI 에이전트를 통한 자동 답장 초안/전송, 알림 등 사용자가 정의한 다양한 맞춤형 후속 조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 NIDN 설정 시, Gmail 트리거를 추가하고 계정을 연결하며, 이메일 본문 전체를 가져오기 위해 '간소화' 옵션을 끄고, 테스트 데이터를 고정하여 사용합니다. ⚙️
- AI 분류기 노드 구성은 이메일 제목과 본문을 변수로 입력하고, Gmail 라벨과 일치하는 카테고리를 정의하며, 각 카테고리에 대한 상세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여 AI의 정확도를 높입니다. 📝
- Open Router 연동을 위해 계정을 생성하고, 결제 정보를 추가하여 크레딧을 확보한 후, API 키를 발급받아 NIDN에 연결하여 다양한 AI 모델에 접근합니다. 🔑
- AI 분류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카테고리 설명(프롬프트)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구체적인 키워드를 포함하여 조정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 비용, 속도, 성능의 균형을 고려하여 적절한 AI 챗 모델(예: 4.1 mini)을 선택하여 분류 작업을 수행합니다. ⚡
- NIDN에서 '간소화' 옵션을 비활성화해야 이메일의 전체 본문을 가져와 AI 분류기가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