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ths About Angular in 2024
- Angular의 성능 저하에 대한 오해는 AngularJS의 잔재이며, Angular v17의 Signals() 도입으로 Vue에 근접하고 React를 능가하는 수준으로 개선됨 🚀
- Angular의 큰 번들 크기는 JIT 컴파일 방식의 옛 방식 때문이었으나, AOT 컴파일과 Ivy 렌더링 엔진, 지연 로딩 등으로 React와 비슷한 수준으로 줄어듬 📦
- 템플릿에서 간단한 연산을 하는 함수 사용은 성능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나, 복잡한 연산은 Pipe 사용이 효율적임 💨
- Renderer2는 과거 서버사이드 렌더링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으나, 현재는 Document Injection Token 사용이 권장됨 📄
- @HostListener, @HostBinding 대신 컴포넌트 데코레이터의 host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됨 🏠
- Angular v18부터 markForCheck()는 변경 감지를 트리거함 🔄
- ::ng-deep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완전히 deprecated 된 것은 아님. Angular 팀은 사용을 권장하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