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과 달레의 좌충우돌 코딩일기 2탄 - 변수와 데이터
- 지난 시간 복습과 함께
python <파일이름.py> 명령어로 파이썬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
- 파일 이름에 공백 대신 언더바(
_)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이고 터미널 혼란을 방지하는 파일명 규칙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
- Git 명령어를 활용하여 코드를 원격 저장소(GitHub)에 올리는 과정(
git add, git commit, git push)과 Git과 GitHub의 관계를 이해했습니다. ⬆️
- '변수'는 변하는 값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a = 1처럼 값을 할당하고 변경할 수 있음을 실습했습니다. 🔄
print(변수명)은 변수가 가리키는 값을 출력하고, print("문자열")은 따옴표 안의 문자열 자체를 출력하는 차이를 명확히 구분했습니다. 💡
- 변수에는 숫자(정수)뿐만 아니라 따옴표로 감싼 문자열도 저장할 수 있으며, 이들을 '데이터'라고 부릅니다. 💬
- 프로그램은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반드시 정의되어야 함을 오류를 통해 확인했습니다. ⏳
- 변수에 다른 변수를 할당할 경우, 해당 변수가 가리키는 '값'이 복사되어 저장됨을 시각적인 그림으로 설명했습니다. 🖼️
- 변수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코드의 반복을 줄여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어 코딩에 매우 유용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