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e of Thoughts 소스코드 분석 - AI 시대 앱 개발 - 로직 중심에서 의미 중심으로
- AI 앱 개발은 로직 중심에서 의미 중심으로 전환됨. 🧠
- AI는 인간 언어의 의미를 이해하고, 기존 앱은 구조화된 데이터로 소통. 🗣️➡️ 🗂️
- Tree of Thoughts(ToT)는 확장(Expand), 평가(Score), 가지치기(Prune)의 핵심 개념을 가짐. 🌳✂️
- 랭체인 트레이싱 V2를 통해 AI 커뮤니케이션 로그를 랭스미스에서 시각적으로 추적 가능. 🕵️♀️
- Reverse Polish Notation(RPN)은 컴퓨터가 수식을 효율적으로 계산하기 위한 표기법. 🔢💻
with_structured_output
을 사용하여 AI 응답을 원하는 데이터 구조에 맞게 자동 변환. ⚙️
- AI에게 왜 틀렸는지 피드백을 제공하여 다음 시도에서 더 나은 답변을 유도. 🔄
- AI 앱 개발자는 언어적 의미, 사고 흐름, 평가 기준까지 설계해야 함. 📐
- 랭그래프는 프롬프트 + 구조화를 통해 로직 중심 프로그래밍과 의미 중심 AI를 통합. 🤝
- 스코어링은 AI가 생성한 thought들의 점수를 매겨 가지치기의 근거를 마련하는 단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