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블로그Top 10
내 프로필

데브허브 안내
소개업데이트 소식

데브허브 커뮤니티

How Svelte Reactivity Works

Joy of Code

2025. 9. 19.

0

#frontend
  • 스벨트의 반응성은 '마법'이 아니라 신호(Signals)라는 개념에 기반합니다. ✨
  • 신호는 관찰 가능한 값으로, 자동 구독을 통해 변화에 반응합니다. 📡
  • 스벨트 5 이전에는 컴파일러가 정적으로 코드를 분석했지만, 이후 신호를 도입하여 런타임 반응성을 구현했습니다. ⏱️
  • 리액트의 라이언 카네아토가 신호를 대중화했으며, 현재 많은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
  • 스벨트 컴파일러는 코드를 분석하여 필요한 곳에 신호를 삽입하고, 개발자 경험을 최적화합니다. ⚙️
  • 'derived'는 이펙트(effect)의 일종으로, 신호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값을 생성합니다. 🔄
  • 이펙트는 신호의 변화를 감지하고 특정 동작을 수행하는 함수로, 의존성 그래프를 통해 관리됩니다. 📊
  • 스벨트의 반응성은 런타임에 발생하며, 값의 업데이트에 따라 의존성 그래프가 실시간으로 변경됩니다. 🚦
  • 신호, 이펙트, derived 를 직접 구현해 보면서 스벨트 반응성의 핵심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
  • 스벨트는 HTML 을 확장한 언어이며, 컴파일된 코드는 사람이 읽을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합니다. 📜
  • Rich Harris 는 소스, 파생, 효과로 신호를 설명하며, 의존성 그래프를 강조합니다. 👨‍🏫

Recommanded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