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기술의 비약적 발전: 10년 전의 서투른 로봇에서 현재 Figure 03과 같은 휴머노이드가 거의 완벽하게 걷고, 말하고, 물건을 집는 수준으로 발전했습니다. 🚀
전기 액추에이터로의 전환: 유압식에서 더 가볍고, 조용하며, 반응성이 뛰어난 전기 액추에이터와 '준직접 구동(quasi direct drive)' 방식을 채택하여 고해상도 근육과 같은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
고급 보행 안정화 기술: 실시간 물리 방정식 처리와 기계 학습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어 스택, 특히 '계층적 역동역학(hierarchical inverse dynamics)'을 통해 로봇의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며 불균일한 지형에서도 균형을 잡습니다. ⚖️
향상된 시각 및 촉각 센서: 지연 시간이 극도로 짧은 스테레오 카메라와 3g의 미세한 힘까지 감지하는 손바닥 및 손가락 끝 센서를 통해 정밀한 조작 능력을 확보했습니다. 👀
혁신적인 열 관리 및 배터리 시스템: 다이캐스트 프레임에 내장된 능동 냉각 채널과 강제 공기 냉각, 그리고 발을 통한 유도 충전이 가능한 2.3kWh 배터리 팩으로 발열 및 전력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
대규모 행동 모델 'Helix'와 지속적인 학습: 'Helix'라는 행동 모델을 사용하여 대부분의 동작을 수행하며, 10Gbps 밀리미터파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중앙 데이터 센터로 전송하여 모든 로봇이 집단적으로 추론 능력을 개선합니다. 🧠
개발자를 위한 기술 스택 단서: Nvidia Isaac Lab을 통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 C++ 저수준 제어와 고수준 계획을 분리하는 계층형 아키텍처, Light Glue on NNX 및 NV Blocks를 활용한 실시간 3D 환경 재구성이 Figure 03의 핵심 기술임을 시사합니다. 💻
로봇 공학의 민주화와 새로운 기회: Nvidia Isaac Lab, Isaac Sim, Mujoco, Brax와 같은 도구들 덕분에 이제 누구나 소프트웨어만으로 로봇을 시뮬레이션하고 훈련할 수 있게 되었으며, 로봇이 차세대 컴퓨팅 플랫폼이 될 '물리적 지능' 시대의 도래를 알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