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DRAM 양산 본격화에도... SK하이닉스, 삼성 이기기 어렵다, 앞으로 더딜 수 밖에 없는 기술적 이유 | HKMG 누설전류 | EUV
- 중국 DRAM 기술 추격의 한계: 창신메모리(CXMT)가 LPDDR5X 개발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수율로 대량 생산하는 능력은 여전히 한국 및 미국 기업과의 격차가 크다는 평가입니다. 📉
- 하이-K 메탈 게이트(HKMG) 기술 장벽: 트랜지스터 미세화에 따른 누설 전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기술인 HKMG는 로직 반도체에 비해 DRAM 적용이 늦었으며, 원자 단위의 정밀한 계면 제어 기술과 ALD(원자층 증착) 장비가 필수적입니다. ⚛️
- 미국 제재와 장비 확보 난항: HKMG 구현에 필수적인 ALD 장비(ASM, Applied Materials 등)와 첨단 DRAM 공정에 필요한 EUV 리소그래피 장비 모두 친미 서방 기업들이 과점하고 있어, 중국은 이들 장비 수입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 DRAM 공정의 HKMG 도입 지연 이유: 로직 반도체와 달리 DRAM은 원가 상승에 매우 민감하며, 기존의 복잡한 3D 캐패시터 구조 위에 HKMG와 같은 신규 트랜지스터 구조를 추가하는 것이 기술 난이도와 비용을 크게 증가시키기 때문입니다. 💰
- HKMG와 수율의 직결성: SK하이닉스의 HKMG 기술 유출 사례에서 보듯이, 이 기술은 DRAM의 양산 수율과 직결되며, 중국은 연구실 수준의 개발을 넘어 경제성 있는 대량 생산 수율 확보에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
- EUV 대체 불가 및 비용 문제: EUV 장비의 부재는 멀티 패턴 DUV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으나, 이는 공정 복잡성과 생산 비용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켜 양산 경쟁력을 크게 저하시킵니다. 💸
- 중국의 지속적인 투자와 국산화 노력: 미국 제재와 기술적 난관에도 불구하고, 중국은 막대한 내수 시장과 정부 지원을 바탕으로 반도체 장비 및 재료의 국산화를 꾸준히 추진하며 장기적인 위협 요소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 단기적 추격의 어려움과 장기적 위협: 현재 중국은 HKMG와 EUV라는 거대한 기술적, 장비적 장벽에 직면하여 단기적인 선두권 추격은 어렵지만, 장기적으로 자체 기술 및 설비 국산화에 성공할 경우 새로운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