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 개발자용 제대로된 AI 사용법
- AI를 활용한 개발 시, 단순히 커서의 프롬프트만 사용하는 것은 비효율적임 🖱️
- 커서 룰을 프로젝트에 적용하되, AI가 룰을 즉각적으로 해결하지 않으므로 디스크립션에 명시해야 함 📜
- 프로젝트 요약 정보를 담은 파일을 생성하여 새로운 대화 시작 시 AI가 먼저 읽도록 설정 📖
- 프로젝트 구조를 AI에 미리 알려주어 일관성을 유지하고, 특히 코어 구조는 직접 입력하는 것이 좋음 🏗️
- 백엔드의 라우트, 서비스 코드, 레포지토리, 스키마 등의 정보가 많아질 경우, AI가 과거 정보를 잊을 수 있으므로 각 기능 개발 후 요약 정보를 리드미 파일로 추출 📝
- 추출된 리드미 파일을 커서에 추가하고, 해당 기능 개발 시에만 참조하도록 설정하여 컨텍스트를 효율적으로 관리 🗂️
- 프론트엔드 개발 시, 글로벌 스토어 디렉토리를 명시하고, 상태 관리 시 펄시스턴스 유지 여부 및 네임스페이스 적용 여부를 룰에 지정 🌐
- 페이지 구조 개발 시, 서버 사이드 렌더링 또는 클라이언트 사이드 렌더링 여부를 먼저 결정하고 룰에 명시하여 불필요한 코드 사용을 방지 ⚙️
- 최신 문법에 대한 AI의 이해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유즈 훅, 어웨이트 파람스 등 최신 훅 사용법을 케이스별로 룰에 추가 💡
- 프론트엔드에서 OCP(관심사 분리)를 위해 컨테이너/프레젠테이셔널 컴포넌트 구조를 사용하고, 예제 코드를 AI에 주입하여 일관성을 유지 🧩
- 개발 완료된 기능은 요약 정보를 룰로 참조시키고, 공용 함수나 패칭 함수 등도 요약하여 룰로 관리하여 개발 속도 향상 🚀
- 클로드 코드가 토큰을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전체 코드를 컨텍스트에 넣기 때문이며, 요약된 정보만 참조하는 것이 효율적임 💰
- 룰 관리를 통해 AI가 집중해야 할 부분을 명확히 하고, 메인 코드 변경 시 룰도 업데이트하여 콤팩트한 상태를 유지 🔄
- AI가 이상한 짓을 할 경우, 개발을 중단하고 요약 후 룰에 추가하여 문제 해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