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fyUI를 사용하여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을 시도하고, 모델 로딩 및 설정 과정에서 겪는 시행착오를 보여줍니다. 🛠️
- 플럭스원 Q8 모델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GGUF 노드 설치 및 모델 매니저 활용법을 설명합니다. 📦
- 최근 모델(SD3, 플럭스)의 프롬프트 이해도 향상 배경에는 클립 모델이 있으며, 텍스트 이해를 돕는 핵심 역할을 강조합니다. 🧠
- 이중 클립 모델 사용법을 설명하며, 클립 i와 클립 L에 각각 다른 프롬프트를 넣어 이미지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합니다. 🖼️
- 프롬프트는 단순한 지시가 아닌 '기계어'와 같으며, LM(Language Model)을 활용해 정교하게 구성해야 함을 강조합니다. ⌨️
- 이미지 생성 시 프롬프트의 구성 요소(종류, 구독, 주제, 배경, 색감, 조명 등)를 상세히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합니다. 🎨
- 디퓨전 모델의 이미지 생성 과정을 시각화하여 보여주며, AI 인터페이스에서 스트리밍 UI의 중요성을 언급합니다. ⏳
- GPT와 비교했을 때 디퓨전 모델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의 통제력이 훨씬 뛰어나며, 프롬프트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 맥 스튜디오가 딥러닝 모델 구동에 적합하지만, 발열 문제로 인해 별도 환기 시스템이 필요함을 지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