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1. 슈퍼챗을 통해 들어온 질문을 우선적으로 대답합니다. (별풍선 뿅뿅~)
2. 질문주제는 크게 가리지 않으나 다음과 관련되는 질문의 대답을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a) 개인신상
b) 종교, 정치 등 민감한 문제
c) 그냥 위로받기 위한 인생상담 (제 진로상담 비디오 참고: • 게임개발 지망생 진로상담 )
0:00 헬로~
0:22 월급루팡용 라이브
1:05 라떄는~
7:50 전 파이썬 어려워요 ㅠㅠ
8::30 파이썬은 괜찮은 라이브러리가 많고
9:35 Go는 어떤가요
10:20 줄맞춤
11:17 포프님처럼 그래픽스나 로우레벨로 숙련도 높은 개발자들이 개인 브랜딩을 잘한다 라고 하면 어떤식으로 하고 있을까요
13:30 학생들이 처음 시작할 때 선택하는 언어는 C가 최선의 선택일까요?
15:05 DirectX 배울려고 하는데 12로 배우는게 나을까요? 아니면 11?
16:45 줄임말 질문은 ㄴㄴ
17:00 헬로우 프로그래밍 책 재밌게 잘 보았습니다~ / 수학 공부 고등학교 수준인데 좀 더 깊게 공부 해야 할까요?
17:55 포프님 aosp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신가요?
19:27 안드로이드 개발할 생각은
20:20 포프님 2014년도 고등학생 2학년 때 유튜브에서 처음 봤는데 어느새 10년이나 지났네요. 시간이 지나고 코딩으로 밥 벌어 먹으면서 살기 시작하니 새삼 대단하신 분이라는걸 다시 느낍니다. 앞으로도 라이브 자주 챙겨볼게요.
20:47 그래픽 엔진 쪽이랑 웹 둘다 하신 입장에서 커리어 투자에 시너지가 됐다고 보시나요 or 분산된 부분이 더 많다고 보시나요~?
22:50 그럼 안드로이드를 오픈소스로 만들어서 구글이 얻는 이점이 무엇인가여? 돈받고 팔면 떼돈벌지 않을까라고 생각했는데 제가 아직 어려서 이런 부분은 잘 모르겠어여
23:47 포프님은 BIOS 엔지니어쪽 아는분 계신가요?
24:45 하드웨어 발전의 최전선은 항상 돈이몰리는곳이군요
25:58 low level이면 어셈블리어까지 커버하나요?
26:55 아날로그 반도체 개발도 하고 있는걸 보면...
27:10 프로그래밍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데 고등학교 수학 과정에서 수학 문제를 어떤식으로 접근해야하나요?
29:20 포프님 혹시 cpu 스케쥴링과 네트워크 스케쥴링을비슷한 개념으로 접근해도 될까요?
30:16 현재 안드로이드 개발자고 풀스택 개발자를 희망하는데 지금은 4년차고 안드로이드를 계속 파고있습니다. 다음은 웹프론트를 해볼까하는데 언제쯤 전환을 시도해보는게 좋을까요
32:28 1인개발 아이템 선정에 조언을 받을 수 있을까요
34:05 화상면접 팁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생각할때 딴곳(먼산) 보는 습관이 있는데 컨닝하는걸로 보일까봐 걱정되네요 ㅜㅜ
34:52 안녕하세요 포프님. 프로그램언어 공부도 수학 공부하신 것처럼 접근하셨나요?? 막히는 부분에서 어떻게 극복하셨는지 궁금합니다.
36:47 제 생각에는 앱이고 안드로이드고, IOS건 프론트와 백으로 갈린다고 생각해요.3-4년 차라면 풀스텍보다는 한 분야를 깊이 파고 이후에 한 꼭지점을 향해 가는게 좋다고 봐요. 포프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9:16 포프님 c++11 스마트 포인터중에 shared ptr을 업계에서 제일 많이쓴다는게 맞나요
41:35 이번 영상인 auto금지는 c#에서만 그랬는지 , 아니면c++ 에서도 그랬는지 알 수 있을까요 ? 사실 질문의 의미는 포프 회사의 코딩룰은 언어에 따라 다른지 , 같은지에.대한 질문입니다.
42:30 상경계와 소프트웨어쪽 복전하는 학생인데 회사 입장에서는 단순히 컴퓨터쪽 전공인 사람과 비교했을 때 플러스인가요 마이너스인가요? 편입해서 컴퓨터쪽에서 상경계 전공이 주전공이 됐는데 여전히 개발자로 가려고 복수전공을 한거라 이게 플러스인지 마이너스일지 모르겠습니다. 20대 후반에서 30대로 넘어가서 졸업을 하는데 그냥 차라리 비전공자로 졸업을 하는게 좋을까요
44:53 기술 staff??
45:35 포프님 담학기 졸업하고 대기업 취준을 1년 해보려고 하는데 그냥 무작정 중소나 스타트업에 갈까요 아니면 취준을 길게 할까요?
47:16 포프님 고성능 비동기 IO 게임서버 개발도 하시나요?
48:21 Flutter 4,5년 했는데 백앤드로 커리어 전환을 시도해야하나 고민이네요
49:32 첫회사 중소기업가면 대기업 못간다는 괴담은 준내많은데 통계가 없음
50:20 너무 포괄적인 질문이지만 "괴물" 들이 모여있는 분야는 어느 분야일까요?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라 뭇하셔두 됩니다. 문득 궁금해졌어요. 일단 모바일 분야는... 뭔가 아닐거같구... 게임쪽? 서버쪽? 아니면 인공지능 분야?
51:32 1인 스타트업을 운영중인데, 현재 수익은 나는 상황이고. 내년쯤에 채용을 할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직원을 뽑게 되면 사무실 같은 구색도 갖춰야 될 것 같고, 어떤 경로를 통해서 직원을 채용해야할지도 고민이 됩니다.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초기 직원이 중요하다고도 하고, 초기 직원을 뽑을때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뭐가 있을까요?
55:35 이전 질문 관련 책 링크 https://tv.popekim.com/Search?q=%EB%A…
57:58 안녕하세요 논리의 허점없이 코드를 짜는 방법이 있을까요? 현재 저는 복잡한 구조를 구현할 때 알고리즘을 먼저 그리고논리적인 허점이 없다고 판단되면 구현을 시작합니다. 하지만 가끔 실제 실행 단계에서 제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논리적 오류가 발생합니다.포프님이 생각하시기에 어떻게 해야 논리의 허점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코드를 짤 수 있을까요?
1:01:17 포프님 정말 불편한 서머타임을 어떻게 해야 없앨수있을까요?
1:03:23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는 게임회사 신입 클라를 목표로 하고있습니다.졸업을 이미 했는데 포트폴리오가 완성되지 않아 이력서를 넣지않고 있습니다.기본기 cs공부도 하고있긴 한데 포트폴리오를 중심으로 준비하는 것이 맞을까요
1:08:16 게임 서버 개발 14년차입니다. 최근 미국이 경제가 활황에 앞으로도 그럴 것 같아서, 북미쪽 취업을 해볼 수 있을까 생각해보는데요, 북미 게임 회사를 국내에서 도전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떤걸까요?
1:11:41 블록체인 개발 쪽은 어떻게 보시나요
1:12:45 포프님도 goty나 게임 박람회 같은데 가보셨나요
1:13:05 캐나다는 해외 원격근무 잡이 많은 편인가요?
1:14:08 1. SI성 업무와 서비스 기업에서의 업무 큰 차이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2. SI성 업무가 개발자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3. AI 엔지니어의 미래를 어떻게 바라보시나요4. 어떤 기능을 빨리 만드는 것과 느려도 기능을 잘 구현하는 것, 이 밸런스에 대해 포프님 생각
1:17:50 웹 개발로 넘어오시면서 크게 달라진 점이 있으세요? (관리능력)
1:23:30 SI 대기업에서 신입부터 3년을 있었는데 저도 회의감이 많이 들어서 서비스로 이직을 하려고 하는데.. 경력 살려서 가기엔 어렵고 많이 늦었을까요?
1:24:45 말씀하신 대규모 서버나 시스템을 다루는 웹쪽분들은 그래도 포프님의 품질기준에는 맞는편이었나요? 게임쪽 사람들 품질과 기준이 많이 다를것같아서 궁금하네요
Reply
0 replies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