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적 IK 시스템 구축 목표: 캐릭터의 특정 애니메이션 재생 중 손과 같은 신체 부위를 월드 공간의 특정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는 절차적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
애니메이션 몽타주 및 커브 활용: 애니메이션 몽타주를 생성하고, 'Press Button'과 같은 커브를 추가하여 IK 시스템의 활성화 시점(커브 값 1)과 비활성화 시점(커브 값 0)을 제어합니다. 📈
타겟 위치 설정: BP_Button과 같은 액터 블루프린트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손이 이동할 월드 공간의 목표 위치를 정의하고, 이를 캐릭터 블루프린트에서 참조합니다. 📍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의 역할: 애니메이션 블루프린트의 이벤트 그래프에서 매 프레임마다 커브 값과 목표 위치를 업데이트하여 IK 시스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
IK 노드 설정 (Two Bone IK/CCDIK): 애니메이션 그래프에서 IK 노드(예: Two Bone IK 또는 CCDIK)를 사용하여 Tip Bone (예: hand_r)이 Root Bone (예: clavicle_r)을 기준으로 Effector Location (목표 위치)으로 이동하도록 설정합니다. 🦴
월드 공간 중요성: IK 노드의 Effector Location Space를 반드시 World Space로 설정하여 캐릭터의 위치나 회전에 관계없이 월드 공간의 정확한 목표 위치로 손이 이동하도록 합니다. 🌍
회전 제한으로 자연스러운 움직임: Enable Rotation Limit 옵션을 활성화하여 뼈대가 비정상적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더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