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tter Stack Podcast Ep. 4: MCP UI, Large Behavioral Models & The Future of AI Interfaces
- MCP UI는 LLM 환경에서 브랜드가 자체 UI를 제어하고 풍부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
- 현재 MCP UI는 주로 iframe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LLM 도구와 상호작용하여 복잡한 쇼핑 및 서비스 흐름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 Shopify와 같은 대기업들이 MCP UI를 지지하며, 텍스트 기반의 LLM 상거래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려 합니다. 🛒
- MCP UI의 광범위한 채택에 대한 회의론도 존재하는데, 이는 OpenAI와 같은 플랫폼이 통제권을 잃을 수 있다는 우려와 높은 에너지 소비 가능성 때문입니다. 💡
- 대규모 행동 모델(LBM)은 LLM의 다음 진화 단계로, 로봇 공학에 특화된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로봇의 행동을 제어합니다. 🤖
- LBM 기반 로봇은 임베디드 GPU로 구동될 수 있을 만큼 에너지 효율적이며, Helix, Boston Dynamics, Tesla Optimus와 같은 회사들이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
- Nvidia Isaac Lab과 같은 시뮬레이션 도구는 실제 로봇 없이도 LBM 개발 및 테스트를 가능하게 하여 로봇 스타트업에게 기회를 제공합니다. 🚀
- AI의 과도한 사용(예: 간단한 코딩 작업)과 LLM에 대한 불필요한 감사 표현 등 AI와의 상호작용 방식에 대한 흥미로운 사회적 현상도 논의되었습니다. 🙏
- 미래에는 사람들이 브라우저 대신 자연어 기반의 MCP 도구를 통해 웹을 탐색할 수 있다는 비전이 제시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