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라츠 추측 구현 시 확장 함수를 이용한 테일렉 재귀는 컴파일러 경고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권장되지 않음. 🚫
- 코틀린에서 불변 값 객체를 나타낼 때는 데이터 클래스를 사용하고, 함수형 값 객체로서의 싱글톤은
data object
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일 것. 💡 - 재귀 함수 작성 시,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는 불변성을 유지하면서 리스트를 매번 드랍하여 새로운 리스트를 생성하는 대신, 커서(인덱스)를 활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
- 추상 대수학에서 모노이드는 항등원을 갖고 결합 법칙을 만족하는 이항 연산을 갖는 집합을 의미하며, 코틀린에서 이를 구현할 때 타입으로 결합 법칙을 증명하는 것은 어려움. ♾️
- 유니온 타입은 속성이나 메서드가 없는 경우
enum class
로 충분히 표현 가능하며, 연산을 알고리즘으로 풀어내면 객체 없이 타입만으로 상태 전이를 관리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