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사 내 코딩 표준에서 타입 추론은 사용하지 않으며 모든 변수 선언은 직접 타입을 명시해야 한다. 🛑
- 타입을 명시함으로써 코드를 보는 동안 타입 정보를 즉시 파악할 수 있어 코드의 읽기 쉬움과 효율성을 높인다. 🔍
- 타입 추론을 사용하면 코드의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으며, 특히 코드의 변경 시 손쉬운 변환이 어려워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
- Alt+Enter 기능 등 ID 도구를 활용하여 타입을 명시하는 작업을 간소화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