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알아야하는 클로드 코드 필수 꿀팁 60가지
- 클로드 코드 설치는 npm install -g @anthropic-ai/claude 명령어로 간단하게 설치 가능 📦
- 클로드 시작은 'claude' 명령어 입력으로 바로 시작! 프롬프트 동시 입력도 가능 ✨
- 데이터 파이핑으로 클로드에 데이터 주입, 헤드리스 모드와 찰떡궁합 🚰
- 최근 세션 이어가기: claude -c 또는 --continue로 빠르게 복귀 🔙
- 특정 세션 선택: claude --resume 또는 -r로 원하는 세션 선택 가능 🗂️
- 클로드 업데이트는 'claude update' 명령어로 간단하게 최신 버전 유지 🔄
- 모델 선택: --model 플래그로 원하는 모델(opus, sonnet) 지정 가능 🤖
- 헤드리스 모드: claude -p로 백그라운드 실행, 자동화 및 멀티 에이전트에 유용 ⚙️
- 헤드리스 모드 JSON 출력: --output-format json으로 깔끔한 데이터 처리 📊
- 디버깅: --verbose 플래그로 더 자세한 로그 확인, 문제 해결에 도움 🐛
- 인터랙티브 모드: /help로 명령어 확인, /clear로 컨텍스트 초기화 ❓
- 컨텍스트 관리: /compact로 대화 요약, 오토 콤팩트 주의! 직접 관리 중요 🧹
- 설정 변경: /config로 오토 콤팩트, To-Do List 등 다양한 옵션 설정 ⚙️
- 모델 선택 (인터랙티브): /model로 opus, sonnet 선택, 디폴트/플래닝 모드 활용 🧠
- 비용 확인: /cost로 토큰 사용량 및 비용 확인 (API 모드) 💰
- 상태 확인: /status로 계정 및 시스템 상태 확인 ℹ️
- 환경 점검: /doctor로 설치 및 환경 체크리스트 확인 🩺
- 프로젝트 분석: /init로 프로젝트 분석 후 클로드.md 파일 자동 생성 🔬
- 메모리 관리: /memory로 클로드.md 파일 직접 수정 (프로젝트/사용자) 📝
- 권한 관리: /permissions로 도구 사용 권한 업데이트 및 관리 🛡️
- 버그 리포트: /bug로 엔트로픽에 버그 리포트 제출 🐞
- 코드 리뷰: /review로 깃허브 Pull Request 리뷰 받기 🤝
- PR 코멘트 분석: /pr-comment로 Pull Request 코멘트 분석 및 개선점 파악 💬
- 계정 관리: /login, /logout으로 계정 전환 및 로그아웃 (멀티 계정) 🔑
- 터미널 설정: /terminal-setup으로 줄바꿈 설정 (Shift+Enter) ⌨️
- Vim 모드: /vim-mode로 Vim 에디터 활용, 텍스트 편집 효율 UP 🧰
- 에이전트 관리: /agents로 커스텀 서브 에이전트 관리, 특정 작업 특화 🦸
- MCP 상태 확인: /mcps로 프로젝트 연결된 MCP 상태 한눈에 보기 👁️
- 아웃풋 스타일 변경: /output-style로 클로드 코드 출력 스타일 커스터마이징🎨
- 상태 라인 설정: /status-line으로 모델 이름 등 원하는 정보 표시 ℹ️
- 클로드.md 활용: 프로젝트 구조, 기능 설명 등 요약, 클로드 코드 효율 극대화 🚀
- 클로드.md 종류: 엔터프라이즈, 프로젝트 메모리, 사용자 메모리, 프로젝트 로컬 메모리 🏢
- 파일 태깅: @filename으로 파일 참조, 절대/상대 경로 사용 가능 📎
- 클로드.md 중첩: 폴더별 클로드.md 파일 생성, 컨텍스트 최적화 📂
- IDE 연동: 플러그인 설치, 터미널 연동, 코드 하이라이팅 자동 문맥 주입 🔌
- Diff 기능 활용: IDE Diff 뷰 연동, 변경 사항 확인 용이 🔍
- 파일 참조 (IDE): Cmd+Opt+K (Mac), Alt+Ctrl+K (Win)로 파일 자동 참조 ⌨️
- 웹 IDE 연동: /ide 명령어로 원하는 IDE 선택 및 연동 🌐
- 깃 CLI 설치: 깃 커밋 분석 등 깃 관련 작업 효율 향상 🌳
- MCP 활용: 슈퍼베이스, 플레이라이트 등 연동, 클로드 코드 능력 확장 🧩
- 커스텀 슬래시 커맨드: 자주 쓰는 명령어 저장, 반복 사용 (깃, 테스트) ✍️
- 커맨드 스코프 조절: 사용자/프로젝트 스코프 분리, 중복 정의 방지 🎯
- 계획 후 실행: 프로젝트 분석, 계획, 실행, 커밋 순서 준수 🗺️
- Thinking 토큰 활용: think, think, think, 울트라크 순서로 토큰 배정 💭
- TDD 적극 활용: 테스트 코드 먼저 작성, 실패 확인 후 구현 🧪
- 스크린샷 활용: 플레이라이트, 퍼페티어 연동, 페이지 스크린샷 주입 📸
- 샌드박스 모드: 퍼미션 플래그, 도커 컨테이너 활용, 안전한 코딩 환경 🔒
- 클로드 코드 선생님: 코드베이스 질문, 상세 내용 파악 👨🏫
- 상세한 프롬프트 작성: 명확한 명령, 정확한 결과 유도 🎯
- 이미지 전달: 스크린샷 드래그 앤 드롭, 이미지 파일 복사 붙여넣기 🖼️
- 파일 직접 태깅: @filename, 탭으로 파일 쉽게 탐색 📁
- ESC 활용: 잘못된 작업 중단, 컨텍스트 오염 방지 🚫
- 롤백 명령: 기존 커밋, 변경 사항 롤백, 쉬운 복구 ⏪
- 체크리스트 활용: 마크다운 체크리스트, 복잡한 작업 관리 📝
- 작업/검증 분리: 독립 에이전트, 객관적 검증 🕵️
- 워크트리 활용: 여러 브랜치 동시 작업, 효율적인 협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