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imation Authoring in Unreal Engine | Unreal Fest Bali 2025
- 언리얼 엔진은 게임 엔진이므로, 기존 VFX 소프트웨어와 달리 '레벨 시퀀스'를 '레벨' 내에서 열어 애니메이션 작업을 시작합니다. 🎮
- 애니메이터를 위한 초기 설정으로, 뷰포트 패닝 반전, 빌보드 숨기기, 애니메이터 친화적인 기즈모 활성화 등의 환경 설정을 권장합니다. ⚙️
- 마우스 오른쪽 버튼과 WASD를 사용하여 1인칭 게임처럼 씬을 자유롭게 탐색하고 카메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
- '레벨 시퀀스'는 애니메이션의 모든 요소를 관리하는 '시퀀서' 패널을 통해 캐릭터, 애니메이션 클립, 트랜스폼 등을 제어합니다. 🎬
- 언리얼 엔진은 Ctrl 키와 마우스 버튼 조합으로 X, Y, Z 축을 쉽게 조작할 수 있는 간접 조작 방식을 제공하며, 모든 에셋은 컨트롤 리그 유무와 관계없이 스케일 조절이 가능합니다. 📏
- 캐릭터를 레벨 시퀀스에 추가하는 방법 중 '스폰 가능 액터'로 변환하면, 해당 캐릭터가 레벨 시퀀스 내에 독립적으로 존재하여 레벨 변경이나 삭제로부터 안전하게 애니메이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
- 애니메이션 키 설정 시, 컨트롤 리그 트랙 전체에 키를 설정하거나 특정 컨트롤러에만 키를 설정할 수 있어, 복잡한 선택 없이도 키를 자신감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 스켈레탈 메시에서 '모듈러 컨트롤 리그'를 생성하여 캐릭터의 바디 리그를 만들 수 있으며, 언리얼 엔진이 제공하는 다양한 모듈(인간, 사족보행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