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강의 리뉴얼 - 변화를 타임캡슐에 담아 묻기
- 깃(Git)은 프로젝트의 변경 사항을 '커밋'이라는 타임캡슐에 저장하여 과거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
- 각 강의 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압축 파일을 통해 이전 강의 상태로 쉽게 복구하여 실습을 이어갈 수 있다. 🗂️
git status 명령어는 현재 깃 상태를 보여주며, 커밋되지 않은 파일(untracked)과 무시되는 파일(.gitignore에 명시)을 구분하여 표시한다. 📝
git add 명령어는 변경된 파일들을 커밋할 준비 상태로 만들며, 마침표(.)를 사용하여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변경 사항을 한 번에 추가할 수 있다. ➕
git commit 명령어는 변경 사항을 타임캡슐(커밋)에 담아 저장하며, VI 에디터를 통해 커밋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다. ✍️
- VI 에디터 사용법:
i (입력 모드 시작), Esc (입력 모드 종료), :wq (저장 후 종료), :q! (저장 없이 강제 종료). ⌨️
git log 명령어는 깃 저장소의 커밋 기록을 보여주며, 각 커밋의 고유 해시, 작성자, 시간, 메시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
- 소스트리(SourceTree)와 같은 GUI 도구를 사용하면 커밋 기록 및 변경 사항을 시각적으로 더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
git commit -am "메시지" 명령어는 이미 추적 중인 파일의 변경 사항을 add와 commit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
- 코드 에디터(예: VS Code) 내장 깃 기능을 활용하여 커밋 기록 및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지만, 본 강의에서는 소스트리를 주요 GUI 도구로 사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