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Scalability: Multi-Platform Insights From Japan | Unreal Fest Bali 2025
- 일본 게임 시장은 콘솔 중심이며, 언리얼 엔진이 포토리얼리스틱 및 비포토리얼리스틱 스타일 모두에 널리 사용됩니다. 🎮
- 많은 개발자들이 출시 직전까지 멀티플랫폼 최적화에 어려움을 겪으며, 낮은 FPS, 메모리 부족, 가이드라인 위반 등의 문제에 직면합니다. 🚨
- 개발 초기부터 실제 하드웨어에서 지속적인 프로파일링과 최적화를 수행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 강력한 PC에서만 개발하거나, PC로 콘솔 성능을 시뮬레이션하거나, 고사양 플랫폼에서만 테스트하는 것은 피해야 할 치명적인 실수입니다. 🚫
- 에디터 도구에만 의존하여 최적화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며, 실제 하드웨어 프로파일링 없이는 품질 저하 작업을 중단해야 합니다. 🛑
- 성공적인 전략으로는 가장 낮은 사양의 플랫폼을 개발 기준으로 삼아 핵심 문제를 해결한 후, 고사양 플랫폼으로 확장하는 방식이 효과적입니다. ✅
- 각 플랫폼의 병목 현상을 예측하고 야간 빌드와 자동화된 테스트를 통해 성능을 지속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
- 일본 개발팀의 CI/CD 도입률은 예상보다 낮았지만, Jenkins를 주로 사용하며 빌드, 테스트, 성능 측정 자동화에 활용합니다. 🛠️
- 소규모 프로젝트는 인력 및 자원 부족으로 CI/CD 시스템 구축 및 유지보수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
- 언리얼 엔진은 5단계의 스케일러빌리티 설정과 INI 파일 오버라이드를 통해 멀티플랫폼 그래픽 품질 조정을 지원합니다. ⚙️
- 최소 PC 사양 결정 시 Steam 하드웨어 설문조사를 참고하고, Nanite/World Partition 사용 시 SSD 요구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